증권 정책

"다올證 회장 연봉 깎아라"…'슈퍼개미' 이번엔 주주서한 압박

"4개 분기 연속 적자인데 18억 수령"

최대주주 참여 유상증자 등도 요구

서울 여의도 다올투자증권 본사 전경. 다올투자증권서울 여의도 다올투자증권 본사 전경. 다올투자증권






이른바 ‘슈퍼 개미’로 불리는 다올투자증권(030210)(030210) 2대 주주인 김기수 프레스토투자자문 대표가 최대주주인 이병철 회장 개인을 상대로 본격적인 압박 작업에 돌입했다. 이달 초 법원에 회계장부 열람 등사 가처분 신청을 한 데 이어 이번에는 이 회장의 봉급을 깎으라는 내용의 주주서한을 다올투자증권에 발송했다.

관련기사



19일 프레스토투자자문은 보도자료를 내고 김 대표와 아내 최순자 씨가 이날 이 회장 보수 삭감과 유상증자를 비롯한 자본확충을 촉구하는 내용의 주주서한을 다올투자증권에 보냈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서한에서 다올투자증권이 연결기준 지난해 4분기 이후 4개 분기 연속으로 영업손실을 기록하고 있다는 점, 그 사이 직원 29.4%가량이 떠난 점 등을 지적하며 이 회장의 성과급을 지급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미 지급한 성과급은 환수하고 내년 보수액도 삭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대표에 따르면 이 회장은 지난해와 올해 기본급과 업무추진비 명목으로 18억 원을 지급받았다.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회사에서 수령한 급여 총액은 128억 6900만 원에 이른다.

김 대표는 또 다올투자증권이 처한 유동성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유상증자 등 선제적 자본확충에 나서야 한다고 요구했다. 다올투자증권의 올 3분기 말 순자본비율(274.33%)이 국내 27개 증권사 가운데 25위라는 점 때문이었다.

앞서 김 대표는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발(發) 하한가 사태가 터진 후인 4월 24일 다올투자증권 주가가 급락하자 장내에서 주식을 저가에 대량 매수해 2대 주주가 됐다. 김 대표는 9월 20일 “인수 의사가 없다”던 기존 입장을 깨고 다올투자증권 주식 보유 목적을 ‘일반 투자’에서 ‘경영권 영향’으로 변경하기도 했다. 현재 김 대표 측 지분율은 14.34%이고 이 회장 측은 25.19%다. 김 대표는 지난달 3일에도 서울남부지방법원에 다올투자증권 회계장부 열람·등사 가처분 신청을 제기하며 본격적으로 경영 참여 활동에 착수한 바 있다.


윤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