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원 강사로 일하던 대학생 지수씨는 반년 뒤 그만뒀다. 학부모와의 상담, 학생 성적 향상에 대한 압박으로 정신이 피폐해졌기 때문이다. 대신 그는 음식 배달 일을 시작했다. 낮에는 공부하고 자정부터 오전 8시까지 오토바이를 탔다. 1년6개월이 되도록 밤에 일하다 보니 험한 일도 여러 번 겪을 수밖에 없었다. 한 50대 남성은 음식값을 주지 않고 구타해 병원 치료를 받았다. 술을 시킨 미성년자에게 신분증을 보여달라고 하자 집에 끌려가 두개골에 금이 갈 정도로 맞기도 했다.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가 기획한 신간 '일하다 아픈 여자들: 왜 여성의 산재는 잘 드러나지 않는가?(빨간소금)'에는 이와 같은 여성 노동자 19명의 애환이 담겨있다. 이나래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상임활동가 등 저자 6명은 산재 위험에 노출된 여성 노동자 19명을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관련 통계를 분석해 책으로 엮었다.
책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19년 6월까지 18~24세 청년의 산업재해 사망 1위 직종은 배달 라이더다. 전체 사망자 72명 중 44%의 비중이다. 불안정한 고용조건, 건별로 책정되는 치열한 경쟁, 묶음 배달 등이 산재의 원인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여성 배달자들은 이런 산재나 공상처리(회사에서 치료비만 받는 것)를 받는 경우가 극히 드문 것으로 나타났다. 폭행 사건이 외부로 알려지는 경우도 적다. 여기에는 남성 동료에게 받는 배척도 한몫 한다는 전언이다.
이를 테면 '여자애들이 꼭 배달하다가 저런 사고 쳐서 그걸로 회삿돈 타 먹는다', '여자애들은 운전도 못 하면서…', '맨날 배달 늦게 온다고 고객 불만도 심한데 왜 채용하는지 모르겠다' 등 배달 여성 라이더를 바라보는 동료 남성들의 시각은 대단히 부정적이다. 지수씨는 "그런 것들 때문에 눈치 보여서 (공상 처리 요구를) 잘 못하게 되는 부분도 있다"고 전했다.
책은 이 외에도 장애 여성 노동자, 성소수자 노동자, 산재 피해자 가족들의 목소리를 담아 '일하다 아픈 여자들'의 산재 문제를 지적한다.
저자들은 “여성 노동자의 산업재해가 아픈 몸이라는 자책과 쓸모없는 노동력이라는 사회의 낙인으로 주로 구성됐음을 확인했다”며 “여성 노동자의 건강에 자본과 국가의 책임을 다시 묻는 일을 진행해야 한다”고 요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