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과잉생산 아니다" 중국 부인에도…안팔리는 중국산 전기차 재고 쌓인 유럽 항구

FT "中 공장 계속 돌리는데 유럽 판매 속도는 안 나"

신화 연합뉴스신화 연합뉴스




자동차 판매 둔화와 화물 운송 적체로 인해 벨기에 제이브뤼허항 등 유럽 주요 항구가 '전기차 주차장'이 되고 있다고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과잉 생산이 아니라는 중국 상무부장의 발언에도 불구하고 유럽 주요 항구에 전기차가 쌓이는 것은 중국산 전기차가 원인이라는 지적이다. 특히 향후 배송 일정도 없는데도 항구 차량 터미널에 자리를 예약하는 중국 회사도 있을 정도인 것으로 전해졌다.

유럽 최대 차량 수입 항구인 벨기에 제이브뤼허항 측은 원산지를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자동차 업체들이 점점 더 항구 주차장을 창고처럼 쓰고 있다"며 "딜러 업체에 재고를 쌓아두는 게 아니라 항구 터미널에서 차량이 수거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다음으로 자동차 물동량이 많은 독일 브레머하펜항의 차량 터미널 운영업체 BLG 로지스틱도 최근 자동차가 항구에서 대기하는 시간이 길어졌다고 전했다.



여러 자동차 업계의 고위 관계자는 중국 업체들이 기대만큼 빠르게 유럽 시장에서 자동차를 팔지 못한 것이 이번 ‘병목 현상’의 주원인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일부 중국 전기차는 길게는 18개월간 항구에 머물며 수입업체에 향후 배송 일정에 대한 증빙을 요구한 항구도 있다고 한다.

한 자동차 물류 전문가는 상당수 차량이 유통업체, 심지어는 최종 소비자에게 팔릴 때까지 유럽 항구에 대기 중이라고 전했다.

중국자동차공업협회 측은 "유럽 시장 내륙 운송이 어려운 상황"이라며 "우리는 불리할 상황에 처할 수 있는 게릴라전식 차량 수출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비야디(BYD·比亞迪)나 치루이(체리·奇瑞), 상하이차(SAIC) 등 중국 자동차 업체는 유럽 전기차 판매 확대 계획을 세우고 중국 내 공장을 계속 돌리고 있다.

올해 1∼2월 중국 전기차와 수소차, 하이브리드차가 가장 많이 수출된 국가는 벨기에와 영국, 독일, 네덜란드였다.

왕원타오(王文濤) 중국 상무부장은 지난 7일 프랑스 파리 방문 중 중국 자동차 기업들과 만난 자리에서 중국 전기차 과잉생산에 대한 비판은 "근거 없다"고 일축하기도 했다.

그러나 상당수 중국 기업은 유럽에서 후발주자로서 유통망이 취약해 운송도 쉽지 않은 상황이라는 게 업계 고위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한 소식통은 "화물차 부족은 아주 흔한 문제"라며 "상당수는 (미국 전기차) 테슬라가 예약했다"고 전했다. 또 FT는 비야디와 치루이, 상하이차 등은 이와 관련한 질문에 응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연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