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금융 경제동향

[이슈&워치]美의 '노동유연성'…경제 버팀목 됐다

고용·생산 늘고 소비확대 선순환

美 성장전망 2.7% 유럽 3배 넘어

WSJ "연준 피벗시계 더 늦춰져"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16일(현지 시간) “최근의 경제지표는 여전히 우리에게 (물가가 안정된다는) 자신감을 주지 않았고 이런 확신을 갖기까지는 예상보다 더 오래 걸릴 것이라는 점을 시사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파월 의장이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 시계를 되돌렸다”고 해석했다.

관련기사



이는 미국 경제가 생각보다 훨씬 더 강하기 때문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이날 미국의 성장률 예상치를 기존 2.1%에서 2.7%로 0.6%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이러한 수치는 유로 지역(0.8%)의 세 배가 넘고 한국(2.3%)보다 0.4%포인트 높다. 경기가 좋아 연 5.25~5.50%의 기준금리에도 물가가 잡히지 않는 것이다.

이유가 뭘까. 피에르올리비에 구랭샤스 IMF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최근 미국의 호조는 높은 생산성과 고용 증가세를 반영한다”고 설명했다. 미국의 지난해 4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생각보다 좋았고 연방정부의 지출도 지속되고 있지만 기저에는 노동유연성을 바탕으로 한 탄탄한 고용시장이 자리 잡고 있다는 뜻이다. ‘높은 유연성→일자리 증가→소비 확대’의 구조다. 미국의 3월 비농업 일자리는 30만 3000개 증가하며 시장 예상치(20만 개)를 크게 웃돌았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17일 “미국은 노동 시스템이 우리와 달리 유연하다”며 “이 부분이 민간의 혁신과 결합하면서 경제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2022년 기준 미국의 시간당 노동생산성은 구매력평가지수(PPP) 적용 시 75.5달러로 룩셈부르크(100.2달러) 등에 이어 세계 4위다. 반면 한국은 43.1달러로 미국의 57.1% 수준이다. 조동철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은 “미국의 50대 이상 근로자의 근속연수가 한국보다 더 높은 게 현실”이라고 밝혔다.


세종=심우일 기자·뉴욕=김흥록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