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하루 2만5000병…참치 엑기스도 만능 요리액 대변신

■동원 F&B 창원공장 가보니

배합 등 자체 생산라인 신설

올 연매출 350억 달성 목표





서울에서 자동차로 4시간이 넘는 거리를 달려 도착한 동원F&B 창원공장. 비릿한 바다 내음과 찐 생선살에서 나는 고소한 냄새가 한데 뒤섞여 코를 찔렀다. 평균 근속 년수 10년이 넘는 숙련공들이 이리저리 참치를 뒤집으며 정교하게 살을 발라 냈다. 작업대를 지나며 캔에 담긴 참치살은 수 차례 검수를 거친 뒤 뚜껑이 덮였다. 이렇게 완성된 참치캔은 컨베이어 벨트를 타고 운반되기 시작했다.




22일 동원F&B 창원공장에서 작업원들이 참치살을 발라내고있다. 사진 제공=동원F&B22일 동원F&B 창원공장에서 작업원들이 참치살을 발라내고있다. 사진 제공=동원F&B


22일 찾은 창원공장은 동원그룹의 심장과도 같은 곳이다. 지난 1986년 회사가 처음 마련한 자체 생산기지인 데다 수산식품 가공 공장으로는 당시 아시아 최대 규모였다. 원어 처리량만 일 평균 200t, 연간 약 5만t에 달한다. 이를 가공한 참치캔과 액상 조미료, 사료가 모두 이곳에서 생산된다. 매일 60만 개의 통조림과 2만 5000병의 참치액이 여기서 제조된다.



동원산업(006040) 어선단이 남태평양에서 잡은 가다랑어는 매일 동결된 채로 마산항을 거쳐 창원공장으로 운송된다. 창원공장의 거대한 찜솥으로 내장을 제거한 참치를 약 1시간 동안 쪄낸다. 이후 흰살은 참치 캔으로, 붉은 살은 사료 통조림으로 각각 분리돼 담긴다. 자숙 과정에서 나온 참치 엑기스는 별도의 정제를 거쳐 배관을 통해 운반된다.

관련기사



22일 동원F&B 창원공장에서 빈 병에 참치액이 주입되고 있다. 사진 제공=동원F&B22일 동원F&B 창원공장에서 빈 병에 참치액이 주입되고 있다. 사진 제공=동원F&B


참치 엑기스를 액상 조미료로 가공하는 생산동은 가장 최근 신설된 라인 중 하나다. 빈 병에 참치액을 붓고 라벨을 붙인 뒤 상자에 담아내는 모든 공정 과정이 기계화돼 있었다. 동원은 지난해부터 시설 투자를 시작해 이달 액상 배합을 포함한 자체 생산 라인을 완성했다. 자회사 동원홈푸드를 통해 주문자 상표 부착(OEM) 방식으로 생산하다 참치액 시장 1위를 목표로 본격적으로 힘을 주는 모양새다. 올해 목표는 이 액상 조미료로만 350억원의 매출을 올리는 것이다. 차상민 창원공장 부공장장은 “참치나 그 엑기스를 수입해 가공하는 대부분의 경쟁업체와 달리 직접 잡은 참치로 농축액을 만든다는 게 강점”이라고 설명했다.

동원은 대표 상품인 참치캔의 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까지 활용해 부가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액상 조미료 부문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이전까지 창원공장에서 발생한 참치액은 대부분 폐기되거나 다른 제조사의 소재 공업용으로만 활용됐다.

향후 이 같은 부산물의 활용도를 더욱 넓힐 가능성도 열려 있다. 차 부공장장은 “유럽의 사례를 보면 대구·명태·연어 등의 부산물에서 콜라겐이나 의약용 성분을 추출해내는 경우가 많다”면서 “내부에서 이런 개발을 위해 시도하고 있다”고 했다.

참치액이 국내 시장에 처음 나온 지는 20년이 넘었지만, 최근 ‘집밥’ 트렌드가 확산되며 인기를 끌고 있다. 닐슨아이큐코리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참치액 시장 규모는 오프라인 기준 약 530억 원 규모로 집계됐다. 동원이 이 시장에 처음 진출한 2021년에 비하면 2배 이상 커진 수치다. 같은 기간 1.7%에 불과했던 점유율은 지난해 14.7%까지 확대됐다.


창원=황동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