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더 내고 더 받는’안…20대女·4050男이 주도했다

4050 남성 80% 3차 조사서 1안 선택

20대 여성 1안 선택 비율 53.4%p 증가

30일 국회에서 열린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주호영 위원장과 야당 간사인 김성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30일 국회에서 열린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주호영 위원장과 야당 간사인 김성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금 개혁을 위한 숙의 공론화 결과 ‘더 내고 더 받는’ 1안(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이 시민 대표단 56%의 선택을 받은 가운데 20대 여성과 40대·50대 남성이 이같은 결과를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보 진영에 대한 지지세가 강한 것으로 알려진 연령·세대 집단이 연금 개혁 논의에서 소득보장론으로 분류되는 1안에 몰표를 준 셈이다.



30일 국회 연금개혁 특별위원회에 공론화위원회가 제출한 ‘연금개혁 공론화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시민대표단 492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3차 설문조사에서 40대 남성과 50대 남성이 1안을 선택한 비율은 80%에 육박했다. 40대 남성의 경우 1차 조사에서는 1안을 선호하는 비율이 33%에 불과했으나 2차 조사에서는 53.5%, 3차 조사에서 79.5%로 급증했다. 50대 남성은 1차 조사에서부터 과반(55.9%)이 1안을 택했고 차수를 거듭할수록 비중이 커져 3차 조사에서는 79.2%를 기록했다.

4050 여성 역시 1안을 선호하는 비중이 2안(보험료율 12%, 소득대체율 40%)보다 높았지만 수치는 과반을 조금 넘기는데 그쳤다. 40대 여성은 1차 조사에서 33.5%만 1안을 지지했지만 3차 조사에서는 53.5%가 소득보장안을 원했다. 50대 여성의 경우 1차 조사에서는 28.7%, 3차 조사에서는 53.4%가 1안을 원했다. 50대 여성의 경우 최종 설문조사에서 1안과 2안(46.6%) 사이의 격차가 오차범위(95% 신뢰수준에서 ±4.4%포인트) 이내였다.



4050 세대는 정치권에서는 야권 핵심 지지 세력으로 구분된다. 이들이 소득 보장론에 힘을 실어주면서 전체 수치에서 1안이 과반을 넘길 수 있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4050 세대가 시민 대표단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7.6%에 달한다.

관련기사



자료제공=연금공론화위원회자료제공=연금공론화위원회


20대의 경우 여성과 남성의 선택이 극명히 갈렸다. 20대 여성 중 1차 조사에서 1안을 선호한 비율은 15.6%에 그쳤지만 2차 조사에서는 43.8%, 3차 조사에서는 69%로 급증했다. 최종 설문에서 1차 조사보다 53.4%포인트가 올라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2안을 택한 비율은 59.6%에서 31%로 급격히 줄어들었다.

반면 20대 남성의 경우 3차 조사에서 2안을 선호한 비율이 57.2%로 전체 연령·성별 집단 중 가장 높게 조사됐다. 이들은 1차 조사에서 26.1%가 1안, 42.1%가 2안을 택했다. 이 비율은 3차 조사에서 1안 13.2%포인트, 2안 15.1%포인트 증가했다. 1차 조사에서 잘 모르겠다고 선택한 31.8%가 학습 과정을 거치며 1안과 2안으로 나눠진 결과다. 1안에서 입장을 정하지 못했던 20대 남성도 숙의 결과 2안에 더 많이 몰린 셈이다.

30대에선 남녀 모두 근소한 차이로 2안의 손을 들었다. 30대 남성은 1차 조사에서 1안 42.1%, 2안 37.4%, 2차 조사에서 1안 57.4%, 2안 33.7%로 소득보장론이 우세했으나 3차 조사에서 1안 48%, 2안 52%로 뒤집혔다. 다만 격차는 오차범위 이내다. 30대 여성의 경우 1차 조사에서도 1·2안의 격차가 1.3%포인트에 불과했는데 3차 조사에서도 1안 49.3%, 2안 50.7%로 격차가 1.4%포인트에 그치는 등 양측으로 팽팽히 갈렸다.

인구비중이 가장 높은 60대에서도 남녀가 서로 다른 선택을 했다. 60대 남성의 51.3%는 3차 조사에서 1안을 선택했다. 2안을 택한 비중은 44%였다. 반면 60대 여성의 경우 2안이 54.1%로 1안(45.9%)보다 높게 나타났다.


세종=주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