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오세훈, 창동 바이오클러스터 기업 유치 직접 나선다…조성 원가에 토지 공급

서울디지털바이오시티 기업설명회 27일 개최

오세훈 시장이 직접 개발 방식과 인센티브 설명

카카오·한화·신세계 등 70여개 기업 참석 예정

개발 이익 기업에 재투자하는 구조…세제 혜택도

창동차량기지 일대 S-DBC 조성 기업 설명회 포스터. 사진제공=서울시창동차량기지 일대 S-DBC 조성 기업 설명회 포스터. 사진제공=서울시




서울시가 노원구 창동차량기지 일대에 조성하는 서울디지털바이오시티(S-DBC) 기업설명회를 오는 27일 개최한다. 70여 개 기업이 참석한 가운데 오세훈 서울시장이 직접 연단에 올라 동북권 첨단기업 유치에 나설 계획이다. 시는 기업 유치를 위해 용지를 조성 원가 수준의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하고, 공공 기여금을 기업 연구 활동에 재투자하는 등의 다양한 인센티브를 구상했다.

23일 시에 따르면 기업설명회에는 카카오·한화·신세계프라퍼티·롯데건설·삼성물산·셀트리온·녹십자 등 건설·바이오·헬스케어 분야 기업 70여 곳이 참석할 예정이다. 서울디지털바이오시티는 노원구 창동차량기지 일대 약 24만 7000㎡ 부지에 바이오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앞서 3월 시는 권역별 도시 대개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강북권을 미래산업 경제도시로 탈바꿈시키겠다고 발표했는데 서울디지털바이오시티는 이 구상의 핵심으로 꼽힌다. 시는 지난 1년 동안 바이오, 연구중심병원, 건설·시행사 등 약 45개 기업과 기관을 대상으로 의견을 수렴하고 이번 기업 설명회를 준비했다. 27일엔 오 시장이 직접 개발 방식과 지원 사항을 설명한다.



서울디지털바이오시티의 개발 방식은 개발 이익을 토지주나 시행사가 가져가는 기존의 사업 방식에서 탈피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저렴한 가격으로 부지를 공급하고, 입주 기업에도 개발 이익이 돌아가도록 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는 기업들이 들어서는 부지를 조성 원가로 공급해 부지 매입비 부담을 낮추고, 취등록세와 재산세도 각각 75%·35% 감면하는 등 세제 혜택을 제공하기로 했다. 기업 용지는 사전 입주 협약을 통해 수의계약으로 공급 가능하다. 중소기업 등에는 50년 장기임대부지를 마련해 연간 임대료를 조성원가의 3% 이내로 저렴하게 공급한다.

관련기사



상업·업무·호텔·주거 등 다양한 용도로 구성되는 복합 용지는 시의 ‘균형발전 사전협상(화이트사이트)’ 제도를 적용해 용도·높이·밀도 등을 자유롭게 허용할 방침이다. 공공기여금은 최소로 부담하도록 하고, 용적률도 1.2배 상향할 예정이다. 가령 용도지역이 일반상업지역인 부지에서 복합 개발을 하면 조례상 최대 800%인 용적률을 960%까지 적용받을 수 있다.

민간 개발에서 나오는 공공 기여금은 기업 연구 활동을 지원하는 통합 시설인 일명 ‘서울형 랩센트럴’ 건립에 투자한다. 또 범용 고가장비 지원에도 공공 기여금을 활용해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을 육성·지원할 계획이다.

시는 서울디지털바이오시티가 입지적으로도 경쟁력이 있다고 보고 있다. 시 관계자는 “서울디지털바이오시티가 위치한 동북권은 25개 대학에서 우수 인력이 배출되는 지역”이라며 “창동차량기지 일대에 본격화하고 있는 상계택지개발지구 재건축 사업이 2030년에 마무리되면 입주 기업 인력에도 양질의 주거 환경을 공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11월 착공한 2만 석 규모의 서울아레나 등 인근의 창업·문화 시설이 준공되면 시너지 효과도 날 것으로 보인다. 또 향후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B·C·E 노선이 개통되면 창동에서 강남까지 20분 대, 송도·인천까지 50분 이내에 도달할 수 있어 교통 여건도 개선될 전망이다.

시는 철도 시설이 철거되는 2027년에 서울디지털바이오시티를 착공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내년 말까지 창동차량기지 일대를 도시개발구역으로 지정하는 등 후속 행정 절차를 밟는다. 또 27일 설명회에서 입주 희망 기업과 협의를 거쳐 최종적인 개발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오 시장은 “서울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동북권의 변화는 필수적”이라며 “동북 지역이 베드타운에서 벗어나 경제 도시로 재탄생되게끔 파격적인 규제 완화와 인센티브를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김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