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청문회 열면 「1,000억설」 밝히겠다”/김대중 총재 일문일답

◎기업에서 명분없는 돈 받은적 없어/「한보 살리기」 타당성 재검토 필요국민회의 김대중 총재는 4일 『나는 한보를 포함해 어떤 기업으로부터도 부정하고 명분없는 돈을 받은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김총재는 이날 상오 여의도 당사 기자실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최근 한보부도사태에 따른 경제상황과 이 문제를 둘러싼 검찰수사, 로비설, 뒤처리 등에 관한 견해를 밝혔다. 다음은 김총재와의 일문일답 요지. ­어제 지구당개편대회에서 여권에 대한 한보의 1천억원 로비설을 주장했는데 그 근거는 무엇인가. ▲1천억원 비리설은 신문에도 여러번 났다. 그같은 정보나 첩보를 우리 당에서 갖고 있을 것이다. 국회 청문회가 열리면 우리 당 국정조사위원이 (이같은 정보를) 가지고 나가 밝히고 얘기할 것이다. ­수서사건 때와는 달리 축소수사가 이번만큼은 통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해왔는데 무엇을 뜻하는가. ▲수서사건 때는 국민들의 관심과 분노가 지금에 비하면 크지 않았다. 수서사건도 부정이었으나 지금과는 비교가 안된다. 이번 사태는 우리 경제를 송두리째 흔드는 비리이고 정경유착사건이기 때문이다. ­만일 검찰의 수사결과가 축소됐다고 판단될 경우 어떻게 할 작정인가. ▲검찰이 그러지 않길 바랄 뿐이다. 그런 일이 생기면 국민 사이에 중대한 파문이 일 것이다. ­지난 14대 대선, 6·27 지방선거, 15대 총선을 앞두고 한보로부터 정치자금 제의를 받은 적이 있는가. ▲(괴로운 듯이)그 얘기는 더 이상 언급하고 싶지 않다. (지난 대선 때 한보의 자금제의를 거절했다는 말은) 공식적으로 한 적이 없고 사담으로 말한 것을 듣고 누가 밖에 나가 얘기한 것이다. 그런 말이 나간 것은 본의가 아니다. 어쨌든 한보를 포함해서 어떤 기업으로부터도 부정하거나 명분없는 돈을 받은 적은 없다. ­한보사태의 뒤처리는 어떻게 돼야 한다고 보는가 ▲당에서 깊이 논의는 안해 뭐라 말할 수 없다. 그러나 경제를 좀 아는 사람으로서 한보가 정말 경제성이 있느냐가 먼저 규명돼야 한다. 박태준씨 같은 세계적인 철강의 권위자도 걱정하고 있지 않은가. 국민기업화한다는 말도 있지만 국민이 손해보는 것을 할 수 없는 것 아닌가. ­초당적 차원에서 경제수습에 협조할 수 있다는 의미는 무엇을 뜻하는지. ▲현재 긴축재정을 하고 있는데 여야가 협력, 예산을 축소하거나 기구를 개편하는 것, 중소기업을 살리고 한보의 경제 타당성 문제를 검토하는 것 등이 될 수 있겠다. 한국은행 독립, 금융개혁문제도 이런 차원에서 포함된다.<양정록>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