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개인투자자 매수세/내년 초 증시 기대 큰손 뭉칫돈이 주류(초점)

◎추가자금유입땐 버팀목 역할 커질 듯최근 개인투자자들이 주식매수를 확대, 주가붕괴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개인들은 지난 10일 외국인들이 1천억원 가까이 주식을 처분했는데도 불구, 1천5백억원 정도의 순매수를 보이며 주가급등을 주도한데 이어 11일에도 한전과 금융주를 중심으로 매수세를 확대, 지수하락을 저지했다. 이처럼 왕성한 주식매수를 하고 있는 개인투자자 자금은 어떤 돈들인가. 증권업계 일부에서는 이들 자금중 상당수가 ▲주가폭락으로 인한 담보부족을 메우기 위한 신용투자자들의 추가자금입금 ▲바닥권 인식으로 다시 주식시장으로 돌아오는 신규자금 들이라고 분석했다. LG증권 신사동지점의 송홍섭 지점장은 『담보부족을 메우려는 자금과 잠시 시장을 떠났던 투자자들이 주가바닥권 인식으로 다시 돌아오며 신규로 유입되는 자금들이 주류』라며 『하루 2천만∼1억원 짜리 계좌가 수십개씩 신규로 개설되고 있다』고 말했다. 일부 증권전문가들은 10억원 이상의 큰 손 자금들이 유입되는 경우도 있다며 이 자금들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우증권 투자정보팀 박주창 과장은 『일부 증권사 지점으로 10억∼20억원 이상의 큰 자금들이 유입되고 있는데 이 자금은 대선이후를 보고 들어오는 장기투자 성격의 돈들로 지하자금의 일부일 가능성이 높다』며 『대선이 끝나면 어떤 식으로든 금융실명제 및 금융정책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미리 물량확보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이같은 개인들의 자금유입이 계속돼 주식시장 버팀목 역할을 지속할 수 있을 것인가. 대부분의 증권전문가들은 가능하다고 분석하고 있다. 현대증권 압구정지점 정흥식 지점장은 『지금 들어오는 자금들은 대다수 대선이후 장기적으로는 내년초의 장세에 대한 기대감으로 유입됐고 대선이 가까워질수록 지하자금을 비롯한 신규자금들도 증시로 들어올 가능성이 높아 개인들의 장세영향력은 더욱 커질 전망』이라고 말했다.<임석훈 기자>

관련기사



임석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