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아태지역 위성사업 민간주도로”/한·중·일 합의

◎투자비 3국 균등분담… 발사체는 중·일 제공/정부 전담반 구성 내년 상반기중 참여사 선정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3국 합작의 지역위성사업이 3국 민간기업의 컨소시엄이 개발과 발사 및 운영을 주도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9일 정보통신부에 따르면 한·중·일 정부는 지역위성사업을 3국이 주도적으로 추진하되 아시아지역 국가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고, 실제적인 사업주체는 3국의 민간기업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에 맡긴다는 원칙에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3국은 위성체는 한·중·일이 기술교류를 통해 공동개발하고, 발사체는 중국과 일본이 제공키로 했다. 또 지역위성 제작·발사·관제·운영에 드는 투자비는 3국이 동일한 규모로 분담키로 했다. 정통부는 지역위성사업 추진방향이 결정됨에 따라 이번주중 한국통신·한국이동통신·데이콤 등 통신사업자와 현대·대우 등 지역위성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관련기업들로 「지역위성 공동개발사업 추진전담반(단장 송철섭 한국통신 위성사업본부 계획국장)」을 구성키로 했다. 또 3월부터 한·중, 한·일 실무자간에 공동위성사업 세부추진방안 작성을 위한 협의에 착수, 올해말까지 사업계획 확정 및 각국 정부승인절차를 끝낼 예정이다. 이어 내년 상반기중 공동위성사업에 참여하는 민간기업을 선정, 본격적으로 위성체 제작에 들어가 2001년초 위성을 발사할 계획이다. 지역위성은 지난해 8월28일과 30일 열린 한·일 및 한·중 통신장관회담에서 논의돼 공동추진원칙에 합의한 프로젝트로, 그동안 각국 정부차원의 실무협의가 진행돼 왔다. 지역위성은 한·일이 공동개최하는 2002년 월드컵을 중계하는 등 국제통신중계기능과 함께 각국이 제작하는 차세대 디지털 위성방송을 아·태지역에 전송하는 등 이 지역 경협촉진을 위한 정보통신인프라로 널리 활용될 전망이다. 특히 서비스범위를 장기적으로 아시아 전역으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출력이 높고 17G∼31㎓(1G는 10억)의 Ka밴드 주파수를 갖는 대형위성으로 설계하는 방안이 검토될 것으로 알려졌다.<이재권·백재현>

관련기사



백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