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훌륭한 시작,훌륭한 결과/이만수 교보생명 사장(로터리)

요즘 입사철을 맞아 대학가에서는 취업박람회가 한창이다. 졸업을 앞둔 대학생들이 사회 초년생으로서 새로운 진로를 결정해야 할 시점에 와 있는 것이다.그러나 경기가 전반적으로 침체되어 기업들이 채용규모를 줄이고 있는 실정이고 보면 치열했던 입시경쟁에 버금가는 또한번의 취업전쟁을 치러야할 판이다. 직장이란 풍요로운 삶을 위한 경제적 가치뿐만 아니라 희망, 포부 등 정신적 가치도 함께 추구하는 일터다. 따라서 사람은 직업없이는 살아갈 수 없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1만1천여종이 넘는 직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 폭이 넓은 만큼 선택 또한 쉽지 않다. 어느 직종을 선택하느냐는 것은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하는 문제와 직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잘못된 선택으로 적응하지 못하고 낙오한다면 본인은 물론 그가 속했던 조직도 막대한 손실을 입을 수밖에 없다. 인간의 욕망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첫번째가 먹고 싶다든가 자고 싶다와 같은 생리적 욕망이요, 두번째는 자기실현의 욕망, 즉 사회적 욕망이다. 이러한 두가지 욕망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이 직장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생활은 작게는 가정에서부터 학교, 직장 나아가서는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조직 속의 일원으로 삶을 영위해나간다. 어차피 조직을 떠나서는 살아갈 수 없다면 개개인의 적성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직종을 선택하여 개인의 성취는 물론 조직의 발전을 도모함으로써 삶의 보람을 찾도록 해야 할 것이다. 바야흐로 세계는 하루가 다르게 변해가고 있고 기업들은 리스트럭처링, 다운사이징, 리엔지니어링 등 새로운 경영혁신운동으로 세계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부심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자원이 부족하기 때문에 세계시장에서 승부를 걸 수밖에 없는데, 좋은 아이디어와 전략만 있으면 얼마든지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세계시장이야말로 패기있는 젊은이들의 새로운 도전의 장이요 기회가 될 것이다. 위기는 항상 위협과 기회를 동시에 수반하므로 침체일로에 있는 우리 경제를 일으켜세울 주인공도 바로 오늘의 우리 젊은이들이다. 훌륭한 시작이 훌륭한 결과를 가져오듯이 현명한 직업선택으로 21세기 주역으로서의 역할을 다해야 할 것이다.

관련기사



이만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