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국감증인 기업·금융인 답변 대책 고심

국정감사에서 증인으로 채택된 기업인과 금융인들이 대선을 3개월 앞둔 시점에서 자칫 여야간의 정치공방에 휘말리지 않을까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18일 국회와 업계, 금융계 등에 따르면 오는 25~26일과 10월4일 열리는 금융감독위ㆍ금융감독원 국정감사와 10월2일 실시되는 공정거래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증인으로 채택된 기업인들과 금융인 등 38명이 여의도쪽에 안테나를 세우며 바짝 긴장하고 있다. 특히 이번 국감에선 현대그룹 특혜지원 의혹과 현대자동차 위장계열사 관련의혹을 비롯해 SK텔레콤의 KT 정부지분 매입 등 통신시장 독과점문제, 하이닉스반도체와 서울은행, 대한생명 매각문제, 보험사 리베이트 의혹, 델타정보통신 주식매매 의혹, 신용카드 문제, 벤처기업 부당내부거래, 코오롱TNS 특혜의혹 등 논란거리가 산적해 있어 경우에 따라서는 큰 파장이 예상된다. 주요 증인의 경우 대기업은 현대아산 이사회 회장과 현대자동차 사장 등 현대가를 비롯, 정보통신업계의 쌍두마차인 SK텔레콤과 KT의 대표가 각각 증인으로 채택됐다. 금융권은 조흥은행장과 하나은행장, 삼성화재 대표, 대우증권 사장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와 관련, 한나라당의 한 관계자는 "현대가 금강산관광을 비롯한 대북사업 추진에서 여러 혜택을 받았다는 의혹이 있고, 차제에 정몽준 의원과의 연계를 차단하기 위해 철저하게 추궁할 것"이라고 말해 정치공세를 강화할 것임을 시사했다. 국감장에서 의원들의 추궁강도가 세질 것으로 보이자 증인들은 사전에 정무위 등 관련 여야 의원측을 직간접적으로 접촉, 공세수위를 누그러뜨리거나 의원들의 예상 질문에 대한 모범답안 마련에 돌입하고 있다. 특히 증언내용이 여야간의 정치쟁점으로 부각될 경우 이미지 타격이 클 것으로 보고 일부에서는 아예 관련 태스크포스팀을 만들거나 출석을 피하기 위해 미리 해외 출장 일정을 잡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회 정무위원회의 한 관계자는 "증인석에 서지 않으려면 해외 공식일정이 있거나 입원한 경우로 사전에 상임위원장과 여야 간사에 사유서와 증명서를 제출해 허락을 받아야 한다"며 "지난해 불출석이 허용된 증인은 52명중 해외출장중이던 7명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한편 '국회에서의 증언과 감정에 관한 법' 에는 증인들이 정당한 이유없이 불출석 할 경우 여야 협의로 고발조치, 3년 이하 징역이나 1,000만원이하 의 벌금에 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고광본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