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기고] 살고싶은 미래도시 'u시티'

통계에 따르면 수도권 거주자가 전체 인구의 48%에 달하고 도시화율은 이미 90%를 넘어섰다. 이러한 도시집중현상은 주택ㆍ교통ㆍ환경ㆍ범죄 등 사회 전반에 걸쳐 많은 문제점을 야기한다. 도시의 거대화로 인한 이러한 폐단 때문에 사람들은 쾌적하고 안전하며 편리한 도시 등 새로운 개념의 도시에 대한 욕구가 커지며, 이러한 경향은 특히 인터넷 발전과 함께 가속화되는 실정이다. IT 활용 도시관리 효율성 높여 따라서 오늘날 도시건설의 추세는 도시민 모두가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각종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최신 IT를 접목한 지능형 첨단도시, 즉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와 유비쿼터스 정보 서비스를 도시공간에 융합해 편의를 증대시키고 체계적인 도시관리로 도시민이 원하는 도시를 구축하는 u시티로 모아지고 있다. 서울시는 상암동에 디지털미디어시티(DMC)와 디지털미디어스트리트(DMS) 조성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부산광역시 해운대구는 사이버도시를 조성해 도시조망, 대화, 가상업소 방문, 아바타(사이버 공간에서 사용자의 역할을 대신하는 애니메이션 캐릭터) 설정, 상담 및 주문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공간자료와 운영 프로그램을 개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을 포괄적 의미의 u시티로 볼 수는 없다. 이에 따라 토지공사는 도시건설 신조류에 앞장서기 위해 지난 3여년 동안 u시티 개발방안을 마련했다. 또 표준화된 u시티 건설 모델을 도출하기 위해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공동 연구를 진행해왔다. 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현재 경기 용인 흥덕과 화성 동탄사업지구를 u시티 시범지구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화성 동탄 u시티에는 올 하반기 최첨단 시스템을 갖춘 도시통합정보센터를 국내 최초로 구축할 예정이다. u시티가 건설되면 폐쇄회로(CCTV)를 통해 실시간으로 도시를 감시, 치안과 방범을 강화하고 화재ㆍ테러ㆍ붕괴ㆍ산불 등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다. 기존 현수막을 디지털LED 전광판으로 대체해 지역주민 광고와 시정정보ㆍ긴급정보 등도 제공하게 된다. 또 교차로를 통과하는 차량흐름을 실시간으로 감지, 신호주기를 통제하고 소통정보를 수집해 능동적으로 교통상황에 대처함으로써 도로상황에 따라 교통소통을 최적화할 수 있다. 홈네트워킹으로 가전기기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도시 전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그동안 u시티에 대한 개념 정립이나 표준화 모델을 마련하기 위한 법과 제도 정비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사업이 추진돼 사업 추진 과정에서 혼선과 제도적 인센티브 결여 등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제도 정비·표준모델 개발해야 그러나 건설교통부와 정보통신부가 지난 6일 u시티 건설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 U시티 관련 법ㆍ제도 정비 및 표준 모델 개발 등에 협력하고 역할을 분담, 추진하게 됨으로써 u시티 건설사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여 여간 다행스럽지 않다. 토지공사의 용인 흥덕 및 화성 동탄 u시티 구축경험은 정부가 현재 추진 중인 u시티 관련 법과 제도, 표준 모델을 만드는 데 중요한 토대가 될 것이다. 앞으로 건설되는 행정중심복합도시ㆍ혁신도시ㆍ김포신도시 등에도 지역별로 특화된 아이템에 표준 모델의 유비쿼터스 기술이 접목되면 업그레이드된 인간중심의 살고 싶은 도시 건설로 보다 많은 국민이 u시티의 혜택을 누리게 될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