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신성장동력속으로] 경기공대 '임베디드시스템교육센터'

현장 근로자 대상 첨단기술교육 제공

이원호 교수


경기공업대학교는 글로벌 무한경쟁시대를 맞아 임베디드시스템(Embedded Systemㆍ내장형 시스템)을 차세대 성장기술로 삼아 꾸준한 신기술개발에 나서고 있다. 임베디드시스템은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소프트웨어를 하드웨어에 내장해 특수한 기능만을 갖춘컴퓨터 시스템이자 대표적인 융합기술로 꼽히고 있다. 요즘처럼 이업종간의 기술교류가 활발해지고 산업환경도 급변하는 상황에서 임베디드시스템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자면 무엇보다 맞춤형 기술교육을 통해 차별화를 이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경기공업대의 한영수 총장이 일찍부터 임베디드시스템을 국내 기업들의 미래성장동력으로 제시하고 나선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이 대학의'차세대 임베디드시스템 기술인력양성사업'은 지식경제부의 산업기술인력양성사업 차원에서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가 주관하고 경기공업대학 산학협력단이 참여하는 것으로 현장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수요자 중심의 첨단 기술교육을 제공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경기공업대는 서울 구로디지털단지 내에 임베디드시스템교육센터를 운용하고 있으며 지난 2005년부터 해마다 임베디드시스템 관련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운영체제, 응용기술 등 다양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그동안 2,000여명 이상의 전문인력들이 경기공업대의 교육과정을 거쳐 갔으며 현장수요에 맞는 교재를 선보이기도 했다. 특히 모든 교육과정이 수요자가 원하는 맞춤형 첨단기술을 중심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현장 인력들의 높은 호응을 이끌어내고 있다. 교육 대상자는 주로 중소기업 현장 근무자이며 신속한 정보 제공을 위해 특강이나 세미나 등을 실시하고 있다. 교육내용은 단계별ㆍ능력별 과정으로 나눠 실습위주의 교육까지 병행하고 있기 때문에 체계적인 실무교육이 가능하다는 것도 강점이다. 이원호 센터장은 "현재 국내에는 임베디드시스템 관련인력이 부족해 전문인력 양성이 시급하다"며 "임베디드시스템은 융합기술이기 때문에 단기간에 인재를 양성하기 힘들어 미래를 내다본 투자개념에서 임베디드시스템 교육을 진행해야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