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벤처기업 육성/정호선 국회의원·국민회의(로터리)

우리나라는 지금 심각한 경제불황으로 인한 총체적 경제위기상황을 맞이하고 있다. 이제 대기업 중심의 장치산업이나 단순한 기술 베끼기 방식으로는 오늘의 경제불황 타개는 물론 더 이상의 성장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 와 있다.새로운 성장산업을 찾지 못하고 고비용 저효율과 기업활력의 쇠퇴 등 구조적 한계에 직면해 있는 것이 우리경제의 현실인 것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높은 부가가치 창출효과 및 대기업과는 비교되지 않는 고효율 구조를 가지고 있는 「벤처산업」이 경제난국 타개의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는 것은 늦은 감은 있지만 당연하고 고무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 일찍이 미국은 지난 8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벤처기업 육성시책을 펴왔고 그때부터 성장한 벤처기업들이 미국경제의 튼튼한 기반이 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블랙먼데이 이후 심각한 경제불황으로 대기업들이 89년부터 92년까지 20여만명의 실직자를 양산했지만 벤처 소기업은 1백만명 이상의 신규고용을 창출하며 산업경쟁력을 강화했다. 벤처 소기업이 주도하는 정보통신산업이 최근 3년간 미국 국내총생산(GDP)의 27%, 작년엔 무려 33%로 비약성장을 거듭한 사실은 의미하는 바가 크다. 우리나라도 비록 걸음마 단계나마 그동안 척박한 경제환경 속에서 1천50여개의 벤처기업들이 활동하고 있다. 이들 벤처기업의 95년도 평균 매출액은 17.1%, 당기 순이익은 15%로 늘어나 일반기업의 5배를 능가했다. 또한 작년 일반 중소기업 도산비율은 3.8%였으나 벤처기업 도산율은 전무했다는 사실은 우리도 벤처기업의 성장 잠재력을 충분히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첨단기술 개발능력과 창의력에다 도전정신을 가진 패기만만한 젊은 기업가들이 기술력을 믿고 만든 기업이기 때문에 대부분 기술력은 높으나 담보력이 없어 심각한 자금난을 겪기 일쑤다. 또한 모든 중소기업과 마찬가지로 각종 규제로 설비구축에 많은 애로를 가지고 있으며 경쟁력이 높은 고부가가치 상품을 개발하고도 판로가 어려운 것이 벤처산업의 현실이다. 이제 선택의 여지가 없다. 선진외국의 예를 들지 않더라도 벤처기업이 향후 21세기 세계경제를 주도할 핵심 전략산업임에 틀림 없다. 벤처기업이 경제를 주도해나갈 수 있도록 산업구조 개편이 절실하다. 또한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계획하에 보다 과감한 정책추진 노력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 정책은 구체적이고 실제적이어야 한다. 이러한 시점에서 보다 현실적인 정책대안을 마련하고자 정치권도 발벗고 나섰다. 새정치국민회의 주최로 오는 24일 국회에서 열리는 「벤처기업 육성을 위한 대토론회」도 그중 하나다. 그동안 창업초기부터 기업을 이끌어온 벤처기업가들의 사례발표와 토론을 통해 기술담보제도 정착, 5천원 고정 액면가제도 폐지, 장외시장 활성화, 스톡옵션 제도 현실화 문제 등 구체적인 정책대안을 모색한다. 모처럼 마련된 정책이 한때 유행처럼 거론되다 흐지부지되어 소리만 요란한 빈수레에 그치지 않도록 정부나 기업 모두가 벤처산업이 진정으로 성장할 수 있는 경제적·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관련기사



정호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