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노조 42% "임.단협때 주5일제 요구"

내달 하순부터 행정기관을 대상으로 주5일근무제가 시범실시되는 가운데 기업체 노조 5곳중 2곳 이상이 올해 임.단협때 주40시간과 주5일제 근무를 요구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한국노총은 이달초 산하노조 208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올 임.단협때 주40시간 및 주5일제 근무를 교섭안으로 요구할 지의 여부를 묻는 질문에 `그렇다'는 비율이 41.8%로 조사됐다고 19일 밝혔다. `하지 않겠다'는 노조는 18.3%였으며, `아직 불확실하다'는 응답은 36.1%를 차지했다. `요구하겠다'는 비율을 산업별로 보면 공공금융부문 74.4%, 운수서비스업 40.6%,제조업 33.3% 순이었으며 규모별로는 종업원 3천명 이상 73.7%, 1천∼2천999명 48.3%, 300∼999명 37.3%, 100∼299명 36.8% 등으로 규모가 클수록 높았다. 주5일제 도입방식에 대해서는 주40시간제 도입을 통한 방식이 67.3%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시간 단축이나 연.월차 대체 6.3%, 평일 노동시간 증대 1.9% 등을꼽았다. 이에 따라 주5일제 도입과 관련, 노조의 13.5%는 `연.월차나 임금 일부를 양보하더라도 도입해야 한다'는 견해를 밝힌 반면, `휴일이나 휴가, 임금을 삭감할 경우에는 반대한다'는 의견이 74.5%로 다수를 차지했다. 이들은 그러나 주5일제 교섭요구때 관철여부 전망에 대해서는 `가능하다' 17.8%, `불가능하다' 24.0%, `아직 불확실하다' 52.9% 등으로, 부정적 견해를 갖고 있는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