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격해진 등록심사를 통과, 요행히 등록되더라도 부실이 드러나면 퇴출이라는 철퇴가 기다리게 된다. 이는 미국 나스닥의 규정을 도입한 것으로 우리 실정에도 적합한 제도라 할만하다. 부실기업이 무늬만 벤처기업으로 둔갑한 사이비 벤처가 더이상 활개치기가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내년 상반기중 58개사를 정리하기로 한 데서 시장정화에 대한 당국의 강력한 의지가 엿보인다.여기에다 주가감시 종합전산시스템이 내년중 가동되고 공시의무가 크게 강화되어 코스닥에서 불공정거래의 가능성은 많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또 매매체결이 지연되지 않도록 전산시스템을 대폭 확장키로 한 것은 코스닥시장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로써 지난 5월 등록여건을 대폭 완화했던 당국의 코스닥시장 정책은 크게 전환한 셈이다. 그러나 이 정도는 최소한의 기본적인 규제라 할 수 있다. 업계에서도 코스닥시장을 죽이는 대책이 아니라며 안도하는 것을 보면 내용은 비교적 합리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나스닥에서는 이보다 더 엄격한 심사와 감시를 하고 있다. 이제 겨우 꽃이 피기 시작한 코스닥에 세계최고 장외시장의 수준을 요구하는 것은 무리이기는 하나 최근의 이상열기가 글로벌 기준의 참조 및 도입을 자초한 셈이다. 당국의 대책 발표를 앞두고 최대의 폭락세가 지속된 사실 자체가 시장이 뭔가 잘못되어 있다는 점을 드러낸 것이다.
따라서 이번 대책은 코스닥에서 정상적인 자금조달과 합리적인 투자행태가 정착되는 계기가 돼야 할 것이다. 하지만 앞으로도 벤처기업과 코스닥시장에 대해서는 규제와 간섭을 최대한 자제하는 원칙은 존중돼야 할 것이다. 벤처기업에 대한 심사를 강화할 경우 또다시 겉치레심사의 폐해가 재연될 가능성도 없지않다.
코스닥시장이 과열과 무질서로 흐른 이유는 업무영역다툼으로 시장관리가 제대로 안됐기 때문이다. 이번에 대책이 나왔다고는 하나 여전히 미덥지않다. 관련 부처와 업계는 책임의식을 갖고 정책 및 업무협조에 나서야 한다. 우리 경제의 새로운 희망인 벤처기업을 육성하는데는 코스닥 시장의 활성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번 대책이 코스닥시장 선진화의 도약대가 돼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