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부시행정부 언론인 매수 '물의'

교육부, 교육법 홍보위해 24만弗 지급<BR>낮은 지지도에 도덕성 논란 겹쳐 곤혹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2기 행정부가 출범 직후부터 언론인 매수로 심각한 도덕성 시비에 휘말리고 있다. 현재 부시 대통령에 대한 지지도는 재선에 성공한 역대 대통령 가운데 가장 낮은 50% 미만에 머물고 있어 이 같은 도덕성 논란이 앞으로의 정책 수행에 어려움을 가중시킬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AP통신 등 미국 언론들은 8일 미국 교육부가 교육법을 홍보하기 위해 저명한 흑인 칼럼니스트 암스트롱 윌리엄스가 소유한 그래험 윌리엄스 그룹에 24만달러(2억5,000여만원)를 지급했다고 보도했다. 교육부는 “이 돈은 대통령의 핵심 교육정책인 ‘낙제학생방지법(NCLB:No Child Left Behind)’ 홍보를 위해 홍보대행사 케첨과 맺은 계약의 일부이며 정당한 행위”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의회와 언론은 이번 사건이 부시 행정부가 정책을 선전하기 위해 납세자들의 돈을 오용하고 민주주의를 해친 사례라며 일제히 비난하고 있다. 윌리엄스는 지난 2003년 말 케첨과 계약을 맺고 백악관의 교육계획이 소수 인종 단체들의 지지를 확보하도록 유도하는 일에 착수했으며 각종 칼럼과 TV프로그램에서 NCLB정책에 대해 찬사를 보내왔다. 또 계약에는 대표적인 보수 흑인언론인인 윌리엄스가 다른 흑인 언론인들에게 이 교육법에 대해 언급하도록 영향력을 행사하고 로드 페이지 교육부 장관이 방송에 출연하도록 하는 내용도 들어있다. 이 같은 사실이 밝혀지자 해리 리드 상원의원 등 민주당 소속 의원들은 부시 대통령에 보낸 서한에서 “우리는 정부정책의 편을 들도록 언론인들을 매수하는 것이 우리 민주주의의 본질을 훼손하는 것이라고 믿는다”며 “이런 행동은 과거 소련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된 것으로 우리 나라에서조차 오래 전에 사라진 것으로 본다”고 비난했다. 워싱턴포스트는 사설을 통해 “국민의 세금을 여론 조작을 위해 사용하는 것은 비윤리적인 수준을 넘어 법을 위반한 것”이라며 의회 차원의 조사를 촉구했다. 또 지난해 선거전 보건부의 의료개혁 홍보 광고와 최근 백악관의 약물오남용 방지 캠페인 광고를 예로 들면서 “부시 행정부가 은밀히 여론을 조작하는 것과 정부 정책을 정상적으로 홍보하는 것 사이의 미묘한 선을 넘어선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LA타임스도 “이번 사건은 부시 행정부가 국민들에게 정부 정책을 팔기 위해 저널리즘이라는 미명하에 정부기금을 남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실례”라고 강력히 비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