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현대차 수출 전면중단

파업 장기화로 생산차질…19일 '마지막 선적'<br>매출 손실 1兆·협력업체 피해도 6,000억넘어

‘텅 빈 야적장, 언제 다시 장도에 나서려나…’ 언제나 자동차가 빽빽하게 들어차 있던 울산항의 현대자동차 수출전용부두에선 오랜 파업 후유증으로 야적장의 아스팔트 속살이 드러났다. 마지막 자동차들이 선적되는 모습 속에는 극한의 파국으로만 치닫는 한국 노동운동의 한계가 담겨있다. /울산=연합


현대차 수출 전면중단 파업 장기화로 생산차질…19일 '마지막 선적'매출 손실 1兆·협력업체 피해도 6,000억넘어 이진우 기자 rain@sed.co.kr 관련기사 • 현대차, 사실상 전면파업…이달 물량도 못대 • 파업 장기화로 자동차산업 경쟁력 '흔들' • 현대차 생산손실… 조합원 임금은? 현대자동차 노조의 파업이 장기화하면서 현대차 수출이 전면 중단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이미 현대차의 생산피해 규모는 1조원을 넘어섰으며 1~2차 협력업체들의 매출손실도 6,100억원에 달하는 등 파업 악영향이 일파만파로 확산되고 있다. 재계에서는 “한국의 대표적 수출 주력상품으로 ‘달러박스’ 역할을 톡톡히 해왔던 현대차의 파행이 좀 더 이어질 경우 기업 브랜드 및 대외 신인도 하락은 물론 국가경제적으로도 커다란 부작용이 발생할 것”으로 우려했다. 현대차 측은 19일 “자동차 생산에 차질이 발생해 오는 23일까지 잠정적으로 수출차 선적을 전면 중단한다”며 “노조가 파업 수위를 낮추지 않는 한 23일 이후의 수출 선적도 기약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번 파업으로 현대차는 이날 현재 생산차질 7만4,611대와 매출손실 1조306억원이 발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현대차의 한 관계자는 “울산항을 통해 19일 280대의 수출차량을 선적한 것을 마지막으로 선적이 중단됐고 아산항과 평택항 쪽 사정도 마찬가지”라며 “울산항 외항에서 정박 대기 중인 해운선사들도 선적부두 입항 일정을 잡지 못한 채 하루 3만달러의 용선비를 부담하는 형편”이라고 전했다. 현대차는 당초 7월 한달간 북미와 유럽 등 전세계에 걸쳐 8만여대의 자동차를 수출한다는 계획이었으나 이번 파업에 따른 생산물량 부족으로 이날 현재 선적실적은 1만여대에 그쳤다. 회사 관계자는 “노조가 무늬만 부분파업일 뿐 잔업까지 계속 거부하는 등 사실상 전면파업을 벌여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현대차는 실제로 노조의 부분파업 주장에도 불구하고 정상생산 대비 생산 손실률이 90%에 달하고 있다. 현대차의 이 같은 파업손실은 협력업체들에도 그대로 전가돼 전국 377개 1차 협력업체와 4,300여개 2차 협력업체의 생산 차질액이 이날까지 6,1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재계 안팎에서는 고유가와 환율하락ㆍ수해 등 대내외 악재로 기업경영이 크게 악화된 상황에서 자동차 업계 등 경제의 한 축이자 고임금을 받고 있는 대규모 사업장 노조들이 무리하게 고임금을 요구하면서 양극화를 부추기고 국가 경제를 어렵게 한다는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 '텅 빈 야적장, 언제 다시 장도에 나서려나…' 언제나 자동차가 빽빽하게 들어차 있던 울산항의 현대자동차 수출전용부두에선 오랜 파업 후유증으로 야적장의 아스팔트 속살이 드러났다. 마지막 자동차들이 선적되는 모습 속에는 극한의 파국으로만 치닫는 한국 노동운동의 한계가 담겨있다. /울산=연합 입력시간 : 2006/07/19 17:07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