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7월 22일] 대기업·中企 대등한 협력관계를

대기업들의 사상 최대 실적 달성, 대규모 성과급 지급 등의 소식이 전해질 때마다 많은 중소기업들은 박탈감에 시달린다. 대기업에 부품을 납품하는 중소기업들은 "툭하면 단가를 내리라고 하는 대기업들이 성과급 잔치한다는 얘기를 들으면 분통이 터진다"고 불만을 토로한다. 박한 마진에도 진땀 흘려가며 어렵게 이익을 낸 중소기업들은 "대기업들이 알면 부품 가격을 더 깎자고 들 것"이라며 "(이익을 냈다는 내용의) 기사도 쓰지 말아달라"고 사정하기도 한다. 대기업 계열사들끼리도 세트(완제품)업체와 부품업체 간에 이익이 골고루 분배되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올 정도니 대기업ㆍ중소기업 간의 불평등이야 오죽할까 싶다. 물론 예전에 비해 중소기업과의 '상생 경영'을 강조하는 대기업들이 늘었다고는 하지만 부도위기에 내몰리는 중소기업이 더욱 많아지는 '기업 양극화' 현상은 더욱 심해지고 있다. 사태가 심각해지자 정부가 대기업들의 중소기업에 대한 무리한 단가인하 요구 및 기술 탈취 등과 같은 부당행위에 대해 조사에 나서기로 했다. 공정거래위원회ㆍ기획재정부ㆍ지식경제부ㆍ고용노동부ㆍ중소기업청 등 관계 부처가 총동원돼 중소기업에 대한 대기업의 부당행위 실태를 점검하는 것은 처음 있는 일이다. 그만큼 대기업ㆍ중소기업 간 온도 차이가 심각해졌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이번 실태 조사만으로 오랜 기간 지속돼온 대기업ㆍ중소기업 간 부당거래 관계가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다만 '대기업=강자, 중소기업=약자'라는 인식을 깨고 양측이 대등한 협력관계를 구축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이달 초 '서울포럼 2010'에 참석한 슈테판 가렐리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 교수는 한국의 다음 도전과제로 '중소기업 육성'을 제시했다. 훌륭한 기술을 보유한 중소기업들이 많아져 수출을 주도하고 고용 창출에 기여해야 국가경쟁력이 높아지고 선진국으로 도약할 수 있다는 조언이다. 정부 차원의 정책도 필요하겠지만 대기업들이 협력관계에 있는 중소기업을 '비즈니스 파트너'로 대우하는 인식의 변화가 급선무다.

관련기사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