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시론/7월 13일] MVNO 성공의 필수 조건은

제4 이동통신사의 등장 소식은 통신비 가계부담 경감의 기대를 갖게 한다. 정책당국이 누차 언급해온 경쟁촉진에 따른 요금조정에 대한 기대이다. 그렇다면 과연 이러한 제4, 제5의 이통사들이 성공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현재 잠재적인 가상이동망사업자(MVNOㆍ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의 기본전략은 경영학의 대표전략 중 하나인 '원가우위 전략'에 기반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원가 우위를 통한 시장전략이라기보다 요금에 민감한 고객층에 저렴한 요금을 바탕으로 브랜드 등의 약점을 메우기 위한 저가전략이라 볼 수 있다. 저가전략 벗고 특화 서비스를 주파수를 할당받아 망을 구축하고 서비스를 진행하려는 사업자의 경우도 크게 달라 보이지는 않는다. 컨소시엄에 참여하는 다수 기업의 유통망, 또는 특정 고객층이나 특정 산업의 특정 서비스에 새로운 사업 모델로 성공 가능성을 제시하고는 있지만 기본전략은 저가전략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저가 기반 전략은 MVNO 사업의 초기 성공을 위한 동인이 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과연 이러한 접근이 MVNO의 장기적 지속 가능성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인가는 의문이 남는다. MVNO 도입이 요금경쟁을 촉발한다면 이는 지속적 요금인하 압박으로 이어지고 결국 이윤압착을 가져올 수 있다. 궁극에는 사업비용 회수와 이윤 창출이 어려운 상황으로 이어진다. 이윤압착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고객을 유치하고 충성도를 이끌어내고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지에 대해 생각해봐야 한다. MVNO는 기존 이통사에 비해 브랜드는 물론 단말기 소싱, 유통구조 등에서 절대적인 약점을 가지고 있다. 일견하기에 저가전략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것 같지만 여기서의 저렴한 요금이란 망대가, 마케팅비(유통망 구축, 고객유치, 고객충성도 구축 등), 기타 운영비 등 사업자의 원가를 회수하기 어려운 수준이 될 수도 있다. 결국 저가전략이 MVNO 초기 사업전개를 위해 필요할 수는 있으나 장기적 성공을 위해서는 다른 요인들을 살펴봐야만 한다. 우선 철저한 고객 이해를 기반으로 서비스 포트폴리오를 계획해야 한다. 음성 위주의 저가전략은 머지않은 미래에 그 시장을 찾기 어려울 수도 있다. 폭발적인 무선 인터넷 활용 등 서비스 수요 변화에 맞는 사업계획이 필수적이다. 이번 월드컵에서 나타나듯이 이미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중계 서비스가 TVㆍ브로드밴드를 통한 서비스의 보완재를 넘어 대체제의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또 기술발전의 명확한 로드맵을 그려야 한다. 모바일 기술은 PC 관련기술에 비해 최소 5배 이상 빨리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영역의 서비스에서 MVNO는 기존 이통사들에 비해 뒤늦은 출발일 수밖에 없다. 새로운 서비스가 시장을 획정해버리기 전에 신속하게 서비스를 확장하고 나아가 새로운 서비스를 선도할 수 있는 단계까지 발전해나가야 한다. 기존 사업자의 망을 제공받는 대가는 MVNO 사업원가로서 중요한 역할을 지닌다. 그러나 망투자 원가를 보상하고 망투자에 대한 유인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MVNO 사업의 성공을 보장하는 대가수준의 정의는 불가능할 수도 있다. 또 통신시장 전체에 있어서 MVNO의 진정한 성공은 단순히 원가구조나 요금수준에 있는 것이 아니고 새로운 시장의 창출과 서비스 개발에 있다. 이통사와 협력 통해 시장 키워야 포화된 시장에서의 나누기는 요금의 단기적 성과 외에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크지 않다. 기존 이통사 및 새로운 이통사를 단순한 경쟁차원이 아니라 협력자로 인지하고 모두가 함께 시장을 키워나가야 한다. MVNO를 안착하고 경쟁으로 요금수준을 내리려는 정책당국의 의지는 확고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요금경쟁을 넘어선 그 이상의 국민적 편익을 위해서는 새로운 서비스나 시장에 대한 기존 및 신규 사업자의 노력에 유인을 제시하는 정책들도 생각해봄 직하다. 또 기존 이통사와 MVNO 사업자 간에 윈윈할 수 있는 사업이 전개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