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10년만기 국채선물 현금결제"


10년 만기 국채선물 결제방식이 기존의 현물결제에서 현금결제로 바뀐다. 또 수요 증가에 맞춰 10년 이상 장기물 발행 비중이 대폭 확대되고 10년 만기 선물거래 실적을 국고채전문딜러(PD) 평가에 반영한다. ★본지 3월 25일 1면 참조 기획재정부는 26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장기 국채선물 시장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재정부 관계자는 “10년 선물의 경우 시장거래가 거의 없는 가운데 시장조성자의 역할을 하는 금융기관도 없다”며 “최근 장기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장기 국채선물 활성화를 위한 우호적 여건이 조성됐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2008년 2월 도입된 10년물 국채는 그 해 1,000계약이 이뤄진 이후 계약이 전무했다. 정부는 우선 장기 국채선물의 거래를 편하게 하기 위해 결제 방식을 당초 실물 인수도 결제방식에서 현금결제로 바꿨다. 현물결제 방식이 당초 현물 수요를 창출하기 위해 생겨났지만 오히려 결제가 불편해지고 현물 확보에 대한 부담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현금결제로 바뀌면서 앞으로 10년 선물을 매입할 때는 사전에 약정한 선물가격과 결제일 선물가격의 차액을 현금으로 정산만 하면 된다. 또 10년 국채선물 거래ㆍ호가단위를 3년 국채선물에 맞춰 모든 국채선물 상품에 대한 거래방식을 일원화했다. 호가공개 범위도 현행 최우선호가±4틱에서 최우선호가±4개 호가로 변경, 범위가 확대됐다. 정부는 이와 함께 10년물 이상 장기물 발행 비중을 확대하고 PD가 제시하는 매도ㆍ매수가 갭을 지속적으로 축소, 거래 체결 가능성을 확대키로 했다. 국채 선물의 안정적 종가 형성을 위해 단일가 매매시간(오후 3시5분~15분) 동안 예상체결가를 공개, 종가에 대한 예측가능성을 제고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