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기생충 감염률 급증 회충 사라지고 간디스토마 증가

그동안 국내에서 거의 사라진 것으로 인식돼온 기생충의 인체 감염률이 다시 높아지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서울대의대 기생충학교실 채종일 교수팀은 지난 7~10월 한국건강관리협회 각 지부를 통해 전국 4,137명(남 2,170명, 여 1,967명)의 대변을 수집, 검사한 결과 기생충 감염률이 8.1%(335명)로 집계됐다고 26일 밝혔다. 국내에서 정부 차원의 전국적 기생충 조사가 이뤄진 것은 지난 97년이 마지막으로 당시 감염률은 2.4%로 집계됐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인체 감염 기생충의 유형별로는 ‘간디스토마’(간흡충)가 259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설사와 복통을 일으키는 장디스토마의 하나인 ‘메타고니우스’(14명), 역시 장디스토마의 일종인 ‘표주박이형디스토마’(5명) 등도 적지 않았다. 이밖에 편충(10명), 이질과 관련 있는 대장아메바(9명), 폐디스토마(1명), 구충(1명) 등에 감염된 사람도 확인됐다. 참게와 가재 등이 중간 숙주인 폐디스토마의 경우 환경오염으로 한동안 없어졌다가 최근 생태계가 복원돼 일부 지역에서 다시 식용으로 유통되면서 감염자가 생긴 것으로 연구팀은 분석했다. 채 교수는 “대변검사에서 폐디스토마가 발견될 정도면 실제 폐디스토마 감염률은 이보다 훨씬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