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고령화 한국' 의약품시장 8조원 육박

IMS헬스 집계 작년 14.6%↑<br>2004년 이후 2년 연속 두자릿수대 고성장

우리나라의 의약품 시장이 세계에서 가장 빠른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고령화 영향으로 2년 연속 두 자릿수대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8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집계됐다. 26일 세계적인 의약품 시장조사 기관인 IMS헬스에 따르면 2005년 한국 의약품시장 규모는 7조8천900억원으로 2004년도의 6조8천860억원에 비해 14.6% 성장했다. 이는 2004년도 성장률인 13.5%를 넘어선 것이다. 2003년도 시장 규모는 6조670억원으로 전년대비 1.8% 증가에 그쳤던 것을 볼때 국내 의약품 시장은 2004년을 기점으로 두 자릿수대의 고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의약품 시장 가운데 의사의 처방을 받아 구매할 수 있는 전문의약품 시장은 6조870억원으로 전년도(5조210억원)에 비해 16.8%, 일반 의약품 시장은 1조8천30억원으로 전년도(1조6천760억원)에 비해 7.6% 각각 증가했다. 작년 전문의약품 시장 성장률은 2004년(17.1%)과 비슷한 수준이며 일반의약품시장의 성장률은 2004년의 성장률(3.7%)에 비해 2배에 달하는 것이다. 지난해 일반의약품 시장의 성장은 2000년 의약분업과 최근 경기침체로 위축됐던분위기가 다시 살아나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을 낳고 있다. 전문의약품 제품군 중에서는 콜레스테롤 저하제인 고지혈증 치료제가 전년대비40%대의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밖에 항응고제와 고혈압 약물도 전년대비각각 29%와 28% 성장했다. 지난해 국내 제약사의 시장 점유율은 64.3%(5조720억원)로 다국적 제약사(35.7%,2조8천180억원)를 크게 앞섰다. 이들 국내 제약사와 다국적제약사는 지난해 각각 14.4%와 14.9%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한편 미국의 경우 최근 IMS헬스가 공개한 데이터에 따르면 작년 처방약 매출액이 2천518억달러로 전년대비 5.4% 늘어나는데 그쳤다. 이 같은 증가율은 2004년의 8.3%보다 둔화된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고령화에 따른 만성질환자가 증가하면서 의료비 지출이 늘어나는 추세이고 40대 이상의 인구 비율이 1980년 전체 인구의 23.1%에서 지난해 40.5%로 늘었다"며 "한국 의약품 시장은 당분간 두 자릿수대의 고성장이 이어질 것으로보인다"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