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협상주역 JP '묵묵부답'

與 "과거사 논의 탄력기대" 野 "정치적 악용 경계"

한일협정 문서가 공개된 17일,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는 멀리 강원도 탄광촌을 찾아 지하갱도를 둘러보고 있었다. 박 대표 입장에서는 껄끄러울 수밖에 없는 한일협상 문제에서 일단 비켜서 있겠다는 의도인 듯하다. 반면 임채정 열린우리당 의장은 당초 18일로 잡혀 있던 신년기자회견을 갑자기 하루 연기할 정도로 이번 문서공개에 각별한 관심을 쏟았다. 여당으로서는 야당에 발목이 잡혀 있던 ‘과거사 논의’가 한층 탄력이 붙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갖고 있다는 점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문서공개가 가져올 후폭풍에 잔뜩 긴장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한나라당은 ‘정치적 악용’ 가능성에 대해 경계심을 감추지 않고 있는 데 반해 열린우리당은 정부도 마지못해 공개했다는 점을 강조하며 ‘정치적 호재’로 부각되기를 내심 기대하고 있다. 전여옥 한나라당 대변인은 “문서공개가 피해를 입은 개인의 권리를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면서 “국회 차원에서 이 협정이 가진 국제법상의 의미와 개인 차원의 대일 배상청구권을 원천적으로 봉쇄한 이유 등에 대해 논의해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같은 당 홍준표 의원은 “이번 공개를 계기로 정부 각 부처의 과거사 진상규명 작업이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이것이 특정 정치세력이 어떤 의도를 갖고 국정을 이끌어가는 빌미가 돼서는 안된다”고 못박았다. 임채정 열린우리당 의장은 이날 집행위원회의를 주재하고 “문서공개 자체가 일제하 피해자들의 강력한 공개요구로 이뤄진 측면이 있다”면서 “정부에서 피해자들에게 일괄보상을 하기는 했지만 문제가 제기될 수 있는 부분이 있다”고 여운을 남겼다. 김덕규 국회 부의장은 “역사의 진실은 언제든지 밝혀진다는 차원에서 보면 한일협정 문서공개는 당연한 일”이라며 “문서가 공개되더라도 청산되지 못한 과거사 문제가 있는 만큼 이에 대해서도 정리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일협정 체결의 한국측 주역인 김종필(JP) 전 자민련 총재와 이동원 전 외무장관은 이날 침묵으로 일관한 채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지난 7일부터 일본에 머물러 있는 JP의 한 측근은 “(김 전 총재가) 한국에 있더라도 한일협정 문제에 대해서는‘노 코멘트’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