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유가 50弗대 지속되면 올 성장률 2.8% 그칠수도

국제유가가 배럴당 평균 50달러를 웃돌 경우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률이 2.8%까지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0일 ‘경제주평’에서 “최근의 국제유가 흐름은 명목가격으로 사상 최고치인데다 실질가격으로는 지난 91년 발생한 걸프전 때의 수준을 넘어섰다”며 “중동산 두바이유 가격이 배럴당 50달러를 넘는 현재의 수준이 하반기에도 지속된다면 올해 성장률은 2.8~3.55% 성장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두바이유 가격이 배럴당 1달러 오르면 국내 물가는 0.15%포인트 상승하고 경상수지는 8억달러 감소, 성장률은 0.15%포인트 하락한다”며 “고유가는 기업의 제조원가를 높여 물가상승과 대외수지 악화를 초래하고 민간소비 부진과 기업투자 침체를 야기한다”고 설명했다. 산업별로는 운수 및 보관산업이 제조원가 부담을 가격에 반영하기 힘들기 때문에 고유가로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됐다. 연구원은 원가 반영이 어려운 철강ㆍ건설ㆍ조선ㆍ섬유산업의 수익성 악화가 예상되며 정유ㆍ해운ㆍ화학산업은 제조원가 상승압력이 높지만 원가부담을 가격에 반영하기 어려워 소비자 물가상승 부담이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원은 고유가 지속으로 국가경제가 위축될 가능성이 큰 만큼 정부는 충격 최소화 방안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구원은 “단기적으로 정부는 공공요금 인상과 원유수입 관세 등을 통해 물가를 안정시키고 소비심리 위축을 막아야 한다”면서 “중장기적으로는 에너지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해외 유전개발 사업에도 적극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활동 위험 요인이 증폭되고 있는 만큼 기업들은 매출액 확대보다 선물(先物)시장을 통한 위험분산 전략을 펴나가야 한다”면서 “장기적으로는 외부 요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도 힘써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