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파워 브랜드 컴퍼니] KT '아이폰'

마니아 중심 '아이폰 열풍' 일으켜


KT는 지난해 11월28일 애플 아이폰을 국내에서 판매하기 시작했다. 출시를 전후해 아이폰의 성공여부를 두고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일각에서는 무선 데이터 이용에 따른 요금폭탄 우려로 소비자들에게 외면당할 것이란 부정적인 의견을 내놓기도 했다. 하지만 마니아층을 중심으로'아이폰 열풍'이 일어나며 시장 안착에 성공했다. 판매 개시 4개월이 채 안 된 현재 아이폰 가입자는 44만명에 달한다. 아이폰은 3W(WCDMA, 와이파이, 와이브로)망을 기반으로 언제 어디서나 무선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유비쿼터스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아이폰 없으면 루저(실패자)'라는 신조어를 탄생시키기도 했다. 아이폰의 가장 큰 매력으로는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고 파는 장터인 앱스토어(AppStore)가 꼽힌다. 앱스토어에는 12만여건의 애플리케이션이 등록돼 있다. 아이폰 상륙은 국내 통신시장 판도를 뒤흔들었다. 무선 데이터 사용량이 급증하며 통신시장의 무게 중심이 음성에서 무선 데이터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 무선인터넷 활성화는 국가적인 화두로 자리잡았다. 아이폰이 몰고 온 변화는 통신시장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앱스토어로 대표되는 애플리케이션 시장이 활기를 띠면서 다양한 소프트웨어 일자리가 창출되고 1인 기업체가 탄생되는 등 새로운 성장사업 개척의 촉매제가 되고 있다. 앱스토어는 특히 국내 콘텐츠 개발자들에게 새로운 기회가 되고 있다. 앱스토어에서는 콘텐츠 개발자들이 만든 애플리케이션이 이동통신사를 거치지 않고도 세계 여러나라의 아이팟·아이폰 사용자에게 바로 전달된다. 아이폰에 이어 모토로이, 옴니아 등 다양한 스마트폰이 쏟아져 나와 스마트폰 전성시대가 활짝 열렸다. 아이폰 출시 전인 지난 2008년 국내 휴대전화 시장에서 스마트폰이 차지하던 비중은 0.9%에 불과했으나 지난해에는 2.2%로 상승했다. 올해는 이 비중이 20% 수준까지 올라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