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갑자기 카드발급 많아진 사람, 금융사서 신용 점검

개인신용 조기경보제 도입

내년 하반기부터 신용카드를 갑자기 많이 발급받으면 기존 대출거래 금융사로부터 신용상태를 묻는 확인전화를 받게 될 전망이다. 19일 금융계에 따르면 은행ㆍ보험ㆍ카드 등 금융권이 공동으로 설립을 추진 중인 개인신용정보회사(CB)는 연체정보, 신용평점 통보 등 업무와 함께 조기경보제도 운영할 예정이다. 조기경보제는 금융사에서 대출을 이용한 사람이 카드를 갑자기 많이 발급받는 등 신용불량자들이 보이는 금융거래 양상을 보일 경우 연체정보가 발생하기 전이라도 해당 금융사에 이를 통고, 대출 이용자의 신용상태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다. CB설립추진위원회의 한 관계자는 “조기경보제는 개인 금융의 부실 확대를 막고 금융사가 조기 대응하도록 하기 위한 차원에서 이뤄진다”며 “조기경보가 발령되면 해당 금융사는 개인 고객의 신용변동 상황을 확인해 대응하게 된다”고 말했다. 금융권 공동 CB는 방대한 금융사들로부터 개인들의 연체정보ㆍ상환실적 등 금융거래 자료를 받아 관리하면서 연체정보는 수시로 각 금융사가 조회할 수 있도록 해주고 대출 등 금융거래가 이뤄질 때 금융사에 필요한 신용정보도 제공하게 된다. 국민은행, 우리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외환은행, 농협중앙회, 서울보증보험, 삼성카드(삼성생명ㆍ삼성화재 포함), LG카드, 외환은행, 현대캐피탈(현대카드 포함) 등 주요 금융사가 500억원을 공동 출자해 설립할 이 CB는 최근 감독당국에 예비인가를 신청했으며 오는 3월 본인가를 거쳐 7월부터 본격적인 업무를 개시할 예정이다. CB설립추진위의 한 관계자는 “개인CB가 도입되면 미국 등과 마찬가지로 국내에서도 개인들이 신용을 스스로 관리하고 쌓아나가는 관행이 확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