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전자정부 구축 기술 수출 본격화

제3세계 국가들 주문 쇄도…범정부차원 입체적 지원 계획<br>삼성SDS ·LG CNS 등 해외진출 크게 늘 듯


한국의 전자정부 구축 기술이 해외로 본격적으로 수출된다. 5일 정보통신부와 IT서비스업계에 따르면 국내 전자정부 시스템이 국제적인 성공모델로 부각되면서 네팔, 수단, 코스타리카 등 제3세계 국가들로부터 한국의 전자정부를 모델로 시스템을 구축해 달라는 요청이 쇄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국제기구 및 선진국들이 국제정보격차 해소 차원에서 지원중인 각종 국제협력자금을 연계해 국내 전자정부 구축 노하우를 수출할 수 있도록 입체적인 지원 프로그램을 가동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를 위해 ▦정보통신부의 IT서비스사업 해외진출지원사업과 개도국 디지털 정보격차 해소사업 ▦외교통상부 산하 국제협력단의 개발조사사업 ▦재정경제부의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운용전략 등을 종합적으로 연계해 전자정부 수출 프로그램을 운용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국내 전자정부 사업에 참여했던 삼성SDS, LG CNS 등 국내 주요 IT서비스들의 해외진출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정통부 관계자는 “과거 산발적으로 진행된 각종 개도국 지원프로그램을 전자정부 수출에 특화된 지원체제로 전환키로 하고, 현재 구체적인 지원 대상국가 및 규모 등을 검토중”이라고 소개했다. 정부는 현재 UN의 전자정부지수 60위권 이하 국가 가운데 한국과의 경제협력 규모 및 가능성이 큰 나라를 우선적인 지원 대상 국가로 결정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경우 ▦아시아 지역은 인도네시아ㆍ네팔ㆍ라오스 ▦중남미는 파나마ㆍ코스타리카 ▦중동 및 아프리카는 예멘ㆍ앙골라 등이 유력한 검토대상이다. 특히 국제적인 개도국 지원 차관 자금을 활용할 수 있어 대규모 전자정부 수출 프로젝트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정통부 관계자는 “전자정부 수출은 국내 개도국 지원자금인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은 물론 아시아개발은행(ADB), 세계은행(World Bank) 등의 국제적인 개도국 지원 차관과도 연계해 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은 UN이 조사한 전자정부지수에서 미국, 덴마크, 영국, 스웨덴에 이어 상위 5위에 랭크돼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