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동해가스전, 가스저장기지로 전환

2017년까지…42개 시·군에 5년내 LNG 추가공급<br>지경부, 장기 천연가스 수급계획


동해 가스전을 거대한 해상 가스 저장기지로 탈바꿈시키는 계획이 추진된다. 또 42개 시ㆍ군에 액화천연가스(LNG)를 공급하는 시기가 대폭 앞당겨지고 내년에는 도시가스의 요금을 동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지식경제부는 29일 이 같은 내용의 제9차 장기 천연가스 수급계획을 마련했다. 정부는 먼저 동해가스전(울산 앞바다 동남쪽 58㎞ 지점)을 오는 2017년까지 평택과 인천ㆍ통영ㆍ삼척에 이은 다섯번째 저장기지로 활용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이는 올해 2,600만톤에서 2022년 3,200만톤으로 늘어날 가스 수요에 대처하기 위함이다. 동해가스전은 연간 37만톤가량의 가스를 생산한 뒤 2018년 고갈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고갈될 경우 약 170만톤(370만㎘)의 LNG 저장이 가능하다. 170만톤은 대형 LNG 운반선 27척의 적재 분량으로 2012년 4단계 공사가 끝나는 평택 기지보다 저장용량이 34만㎘나 많다. 완공되면 국내 최대규모의 저장시설로 연간 수요량 대비 천연가스 저장비율은 지난해 9.2%에서 24.3%로 올라간다. 이는 미국(18%), 일본(16∼18%)의 저장비율보다 높다. 이재훈 지경부 2차관은 “같은 규모의 저장기지를 지을 때보다 건설비용도 저렴할 뿐더러 2015년부터 러시아로부터 750만톤의 천연가스를 공급받게 돼 있는데 기체 상태의 천연가스를 저장하는 데는 동해가스전이 적합하다”고 말했다. 실제 동해가스전 규모의 신규 인수기지를 건설할 때 3조2,000억원의 비용이 들 것으로 추산되고 있지만 가스전을 저장기지로 바꾸면 2조2,500억원 정도면 가능하다. 지경부는 또 2020년까지 천연가스를 공급하게 돼 있던 31개 시ㆍ군에 대해 공급시기를 7년 이상 앞당기고 주배관 인근 11개 시ㆍ군을 새로 공급대상에 포함하는 방안도 시행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앞으로 5년간 모두 1조7,000억원이 투입돼 980㎞의 주배관이 건설되며 정부도 도시가스업체의 배관건설 등에 1,611억원의 재정을 투입한다. 계획이 시행되면 2013년까지 도시가스를 공급받는 기초 자치단체는 모두 201개로 늘어나며 특히 16개 시ㆍ도 가운데 유일하게 LNG를 공급받지 못하던 제주지역도 공급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되면 현재 65%인 전국의 도시가스 보급률은 2013년이면 78%로 높아진다. 지경부는 이와 함께 도시가스업법을 개정해 부산물에서 나오는 가스와 음식물ㆍ축산분뇨 병합가스 등의 대체 에너지원도 도시가스 범위에 포함시켜 가스 배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산업용 가스요금을 여름철에는 저렴하게 하고 동절기 요금은 비싸게 만드는 탄력적 요금구조를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하되 내년 도시가스요금은 동결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