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국제업무지구 개발 중단 위기에 용산 '쇼크'

부동산 시장에 '엎친데 덮친' 악재<br>아파트 거래 실종 급매물만 쌓여<br>연초比 5,000만원 이상 떨어져<br>인근 지분값 하락도 불가피할 듯

용산 역세권 개발사업이 중단될 위기에 몰리면서 인근 아파트 시장에 급매물이 쏟아지고 있다. 연초 대비 5,000만원 가량 가격이 급락한 용산구 도원동 삼성 래미안 전경.

단군이래 최대 규모의 개발사업으로 불리는'용산 국제업무지구(용산 역세권)'개발사업이 자금조달의 어려움으로 중단될 위기에 몰리면서 이 지역 부동산시장이'쇼크'상태에 빠졌다. 총 사업비 31조원을 들여 초고층 빌딩과 호텔, 관광시설, 유람선 선착장 등이 들어서는 초대형 국제업무지구를 지을 계획이었지만 무산될 경우 그 동안 개발 기대감에 급등세를 보였던 주변 집값과 땅값의 하락세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8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부동산 경기침체의 한파에다 용산 역세권 개발사업까지 백지화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이 일대 아파트 값의 하락세가 더욱 가팔라지고 있다. 사업부지인 코레일 철도정비창 인근 한강로3가 주변에서는 아파트 매매거래 자체가 실종된 상태에서 급매물만 쏟아지고 있다.

인근 부동산중개업소의 한 관계자는"재개발 사업이 본격적으로 삐걱대기 시작한 지난달부터 급매물이 나오기 시작했다"며 "컨소시엄의 지급보증 중재안 거부소식이 알려진 뒤 집주인들의 매도 문의가 부쩍 늘었다"고 말했다.


한강로3가 우림필유 105㎡형은 연초 최고 9억5,000만원 선에 시세가 형성됐으나 6월 이후 9억원 밑으로 매물이 나오고 있다. 도원동 도원삼성래미안 108㎡형은 올해 초보다 5,000만 원 가량 떨어진 5억~6억3,000만원에 시세가 형성됐고, 이촌동 대우 165㎡형은 11억7,000만~13억원 선으로 평균 6,500만 원 가량 떨어졌다.

관련기사



이 일대 아파트 값의 하락세가 가파른 것은 사업이 중단될 경우 그 동안 부동산 가격을 끌어올렸던 개발 기대감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특히 그 동안 개발 호재를 믿고 집과 땅을 샀던 투자자들 피해가 우려된다. 용산 개발사업 지역 인근 삼각지 주변의 대지지분 가격은 한때 3.3㎡당 최고 1억5,000만원을 호가했지만 사업이 중단될 경우 하락세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이 같은 상황을 반영하듯 부동산정보업체 스피드뱅크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7월 마지막 한 주 동안 용산구 아파트 평균 시세는 0.31% 하락해 서울지역에서 가장 내림 폭이 컸다.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