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최전방경계 로봇 투입

CCTV·경보센서등도 통합 운용<BR>2011년까지 첨단감시시스템 구축

지난해 11월부터 4개월여간 이라크 자이툰부대에 배치돼 경계 정찰 및 폭발물 탐지임무를 훌륭히 수행해낸 지능형 경계로봇 ‘롭해즈’.

최전방 경계에 로봇 등 첨단장비가 적극 활용된다. 국방부는 지난해 10월 철책선 절단사건을 계기로 휴전선 경계에 지능형 감지로봇을 투입하는 등 오는 2011년까지 경계시스템을 과학화하기로 했다고 8일 밝혔다. 국방부가 구상하는 철책 경계로봇은 자체 이동은 물론 감지와 경보ㆍ사격 기능까지 갖춘 지능형 로봇으로 현재 자이툰부대에서 운영하는 감시로봇보다 이동과 판단능력이 한층 강화된 로봇이다. 국방부는 이에 따라 전방 초소를 중심으로 중대ㆍ대대 상황실과 연결된 통합시스템을 만들어 영상 및 경보신호를 실시간 공유하고 기존 원거리 감시장비를 업그레이드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근거리 감시ㆍ경보를 위해 경계등은 물론이고 폐쇄회로(CC)TVㆍ경보센서ㆍ로봇 등을 통합해 운용해나가기로 했다. 이를 위해 올해 안에 육군본부와 국방과학연구소ㆍ합동참모본부 등의 논의를 거쳐 중기계획에 반영하고 내년 중 시험평가를 위한 예산을 배정해 대상업체를 선정한다는 방침이다. 국방부는 현재 ▦지능형 경계로봇(근거리 영상 및 경보체제) ▦광섬유망경보체제(FOMGuard) ▦장력감지센서체제 ▦원격전장감시체제 ▦마이크로웨이브 경보체제 등의 적용 여부를 놓고 검토작업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능형 경계로봇은 지난해 11월부터 지난 2월까지 이라크 아르빌에 주둔 중인 자이툰부대에도 2대가 배치돼 작전을 수행한 바 있다. 신현돈 국방부 대변인은 “첨단기술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중장기적으로 병력 위주의 경계체제를 과학화, 장비 위주의 경계체제로 구축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해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