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서울대 강단 서는 벽안의 부부교수

얀 라거왈·주시 스칼리아씨<br>나노융합학과 교수 임용

얀 라거왈(왼쪽), 주시 스칼리아

유럽 나노기술 학계에서 촉망받고 있는 벽안의 부부 학자가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나노융합학과 교수로 나란히 강단에 선다. 그 주인공은 독일 할레대 화학ㆍ물리화학연구소의 얀 라거왈(40) 교수와 이탈리아 국립연구소 주시 스칼리아(41) 연구원. 지난 1997년 샬메르스공과대학 극초단파기술학과대학원에 진학한 스웨덴 출신의 라거왈 교수는 이탈리아 출신의 유학생 스칼리아씨와 사랑에 빠졌다. 이들은 액정표시장치(LCD) 관련 연구로 2002년 함께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2005년에 결혼했다. 하지만 라거왈 교수는 독일에서, 스칼리아씨는 이탈리아에서 각각 교육 및 연구에 매진하느라 결혼 후에도 오랫동안 떨어져 지내야 했다. 우수한 연구와 교육 실적을 인정받아 각자 소속기관에서 종신재직권을 얻는 등 성과를 얻었으나 함께 지낼 수 없다는 아쉬움이 컸다. 공동연구차 스웨덴을 찾았던 박영우 서울대 나노융합학과 교수는 이들에게 서울대 교수직 지원을 추천했다. 박 교수는 "이들 부부의 주된 연구 분야인 액정은 화학과 물리학, 생체분자 복합체 등 다양한 영역이 복합적으로 융합되는 분야이기 때문에 나노융합학과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오는 5월1일 정식 발령이 예정된 두 사람은 "최고 수준의 연구환경을 갖춘 서울대에서 함께 생활하고 연구할 수 있다는 것은 너무나도 매력적"이라며 "착용식 컴퓨터 등에 활용되는 스마트섬유와 새로운 에너지 발생시스템 개발 등에 도전하고 싶다"고 각오를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