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독립운동가 후손' 할머니 전재산·장기 기부

팔순 김춘희씨 전세보증금 1천500만원 기탁, 남은 1천만원도 곧 쾌척<br>정부지원금 20년간 교회 등에 기부…장기·시신도 사후 기증키로

고령의 가난한 할머니가 그나마 갖고 있던 전세보증금 전액을 이웃돕기 성금으로 내놨다. 김춘희 할머니(80.서울 양천구 신정동)는 11일 전재산이나 다름없는 전세보증금 1천500만원을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사후(死後) 약정 기탁했다. 김 할머니에겐 이제재산이라곤 통틀어봐야 1천만원 정도밖에 남아 있지 않으나 이도 곧 기부할 작정이라고 한다. 김 할머니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사후에 장기와 시신을 기증키로 장기기증운동본부에 약정해놨다. 할머니의 80 평생은 그야말로 남을 위한 봉사의 삶이었다. 해방직후인 1945년이북에서 혈혈단신 서울로 왔으나 휴전선에 막혀 가족과 헤어진 이후 줄곧 혼자 살아왔다. 부친이 러시아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의 후손으로 간호사 면허증도 갖고 있던 인텔리 여성이었으나 6.25 전쟁 당시 피난을 하다 간호사 면허증을 분실했다. 독립유공자 후손임을 증명할 수 있는 각종 서류도 이 때 함께 잃어버렸다. 이 때문에 생선이나 떡을 파는 행상을 하면서 고단한 평생을 걸어온 김 할머니는 현재 기초생활보장수급자로 편입돼 정부 지원으로 근근이 살아가고 있다. 하지만 김 할머니는 6.25 전쟁 직후 10년간 고아들을 돌봤고 장애인 단체에서 봉사활동도 꾸준히 해왔다. 최근까지 정부 지원금을 쪼개 생활비로 10만여원만 쓰고나머지 20여만원은 교회 등에 20여년간이나 기부해왔다. 할머니는 지금까지 한번도 결혼한 적이 없다. 자유로운 봉사를 위한 독신의 삶이었던 셈이다. 할머니는 당뇨와 뇌졸중으로 한때 몸무게가 38㎏으로까지 줄어드는 등 사경을 헤매다 기적적으로 살아난 적이 있다. "나라에서 생활비를 받고 있는데 이 돈을 아껴서 이웃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 마지막으로 할 수 있는 일인 것 같다"면서 "살아있는 동안 절약하여 조금이라도 더 이웃을 돕고 싶다"는 게 김 할머니의 마지막 소망이다. 공동모금회는 김 할머니를 `행복지킴이 44호'로 선정했다. (서울=연합뉴스) 황정욱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