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7월 29일] 한·리비아 협력관계 훼손 안돼야

리비아가 현지 대사관에 근무하는 우리 외교관 한 명을 지난달 중순 추방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리비아와의 외교관계가 위기상황을 맞고 있다.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리비아 보안당국이 리비아 주재 한국대사관에 근무하는 국정원 직원을 스파이 활동을 했다는 이유로 구금 조사한 뒤 '비우호적 인물'로 규정하자 우리 측은 그를 귀국 조치했다. 정부는 통상적 정보활동이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으나 리비아 측 입장이 완강한 것으로 알려져 잘못하면 국교단절이라는 최악의 사태도 배제하기 어렵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올해 수교 30주년을 맞은 한ㆍ리비아 외교관계가 무너져서는 안 된다. 경제 분야를 중심으로 양국 간 밀접한 교류협력 관계가 흔들릴 경우 양국 모두에 막대한 피해가 불가피할 것이기 때문이다. 국내 건설사들이 활발히 진출하고 있는 리비아에는 현재 20개사가 51건의 프로젝트를 시행 중이며 공사금액은 총 92억달러에 이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자동차ㆍ건설장비 등을 중심으로 지난해 양국 간 무역규모가 12억달러에 이르는 중요한 교역 파트너다. 이번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막대한 피해가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양국은 조기에 수습하는 방향으로 노력해야 한다. 우리 정부는 대통령 특사 파견 등의 외교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이렇다 할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포기하지 말고 공식ㆍ비공식 외교 채널을 총동원해 사태해결 방안을 찾아야 한다. 국정원 직원을 도왔다는 혐의로 현재 현지에 체포돼 있는 우리 선교사와 농장주를 석방하는 문제에도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사전통보도 없이 사실상 문을 닫고 비자발급을 중단한 주한 리비아 경제협력대표부가 업무를 재개하도록 설득하는 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문제해결을 위한 외교적 노력을 기울이는 과정에서 외교 당국 간 불필요한 논란이 발생하거나 정보가 사전에 외부로 유출돼 리비아를 자극하는 일이 빚어지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사안의 성격상 조용한 가운데 신중하게 처리하는 것이 국익에 도움이 될 것이다. 아울러 해외에서의 정보활동 역량을 높이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