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포항시민 "지역경제 겨우 회복중인데…" 분노 폭발직전

포스코 점거 장기화로 市전체가 공황상태<br>시민·사회단체 1만명 파업중단 궐기대회


“첨단 R&D 클러스터 추진 등으로 어렵사리 회복 중인 지역 경제가 이번 포스코 불법점거 사태 등의 여파로 물거품이 될까 걱정이 앞섭니다.” 국내 최대 철강도시이자 인구 50만의 조용한 동해안 연안도시 포항 지역이 노동계의 잇단 점거ㆍ시위 등으로 걷잡을 수 없는 공황상태로 빠져들고 있다. 포항건설노조의 포스코 본사 점거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이에 동조한 노동계의 대규모 집회와 지원파업 예고 등으로 시 전체가 소요사태를 방불케 하고 있다. 포항상공회의소의 한 관계자는 “지역 경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포스코 본사 업무의 마비는 지역 경제를 마비시키는 직격탄이나 다름없다”며 이번 포스코 점거사태가 미치는 지역 경제 악영향을 단적으로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또 “특히 이 같은 소요사태 여파로 향후에도 포항 지역이 파업도시라는 불명예를 떠안게 된다면 현재 추진 중인 첨단 R&D 산업 및 바이오 소재 클러스터 구축에도 심각한 차질이 불가피하다”고 우려했다. 이번 사태로 포스코는 파이넥스 공장 등 제철소 내 24개 기계ㆍ설비 건설공사가 중단돼 하루 100억원가량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앞으로 본사 점거가 계속되면 외주사 관리와 제철소 기자재 공급, 인력관리업무 차질 등 피해가 발생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현재 포스코와 관련된 포항 지역 내 크고 작은 협력업체 수는 1만여개. 포스코 불법점거 장기화로 포스코의 외주관리 차질이 본격화되면 이들 업체에까지 업무마비 사태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상황이 이렇자 지역 경제계는 물론 포항시민들의 분노가 폭발 일보 직전에 이르고 있다. 포항시민들은 ‘파업중단’을 요구하는 대규모 집회를 잇달아 열고 “이번 사태로 지역 경제가 어려워진다면 50만 포항시민들이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며 노조 측을 강하게 성토하고 나섰다. 포항상공회의소와 포항지역발전협의회ㆍ포항향토청년회 등 포항 지역 30여개 시민ㆍ사회단체들은 18일 포항종합운동장에서 1만여명의 시민들이 참가한 가운데 ‘포항 경제 살리기 범시민 궐기대회’를 열고 건설노조원들의 포스코 불법점거 중단을 촉구했다. 포항시내 곳곳에도 노조의 파업중단 등을 촉구하는 내용의 현수막이 곳곳에 내걸려 지역 경제 침체를 우려하는 시민들의 바람이 봇물을 이루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정부는 이날 오전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한명숙 총리 주재로 포스코 사태 관련 긴급 관계장관회의를 열어 대책을 논의한 뒤 담화문을 발표했다. 정부는 담화문에서 “포항 지역 건설노조의 포스코 본사 점거사태는 명백한 불법행위로 결코 용납할 수 없다”면서 “자진 해산할 경우 교섭을 주선하는 등 최대한 선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