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유가 급등, 두바이유 사상 최고가 근접

주요 산유국인 이란과 나이지리아의 정정불안등으로 인해 두바이유 현물가가 작년 9월초 이후 최고가를 기록하는 등 국제유가가급등세를 보여 우리 경제에 악영향이 예상되고 있다. 18일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17일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거래된 2월인도분 서부텍사스 중질유(WTI)는 지난주 종가보다 배럴당 2.39달러 오른 66.31달러에 거래돼 작년 9월29일 66.79달러 이후 3개월여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17일 거래된 중동산 두바이유 현물가도 배럴당 58.70달러로 전날보다 0.67달러상승, 미국의 허리케인 카트리나 피해에 따른 영향으로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던 작년 9월초의 59달러대에 근접했다. 올들어 17일까지 두바이유 현물가는 평균 57.21달러를 기록하며 강세를 유지하고 있다. 영국 런던원유시장의 2월 인도분 북해산 브렌트유도 전날보다 배럴당 1.28달러오른 64.46달러에 거래됐다. 이날 유가는 이란의 핵개발 문제를 둘러싼 국제적인 갈등과 나이지리아의 정정불안에 따른 공급차질, 미국과 중국의 수요 강세 전망 등으로 인해 석유시장에 불안감이 고조되면서 큰 폭의 상승세를 나타냈다고 석유공사는 분석했다. 이란의 경우 핵개발 시도에 대해 국제사회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를 통한 경제제재조치를 위협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란 경제장관이 국제유가 급등 가능성을 경고해 시장의 불안감을 고조시키고 있다. 여기에 나이지리아에서 석유시설에 대한 공격 등으로 로열더치쉘이 현지 유전의일 11만5천배럴의 공급중단을 발표해 석유 공급불안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켰다. 이란과 나이지리아의 원유생산량은 전세계 원유생산량의 7.5%에 달한다. 이와함께 국제에너지기구(IEA)는 17일 발표한 월간 석유시장 보고서에서 올해세계 석유수요가 중국의 수요회복과 미국의 수요 강세 등으로 인해 작년보다 2.2%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같이 국제유가가 고공행진을 함에 따라 최근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우리 경제의 발목을 잡을지에 대한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유가가 강세를 지속할 경우 세계 경제가 위축되고 이에따라 우리의 수출이나 내수 등 산업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연구원은 작년 9월초 국제유가가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통해 올해 두바이유 가격이 평균 60달러를 형성하면 국내총생산(GDP)이 0.55%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