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발언대/8월 19일] 캐피털사의 서민금융 지원

최근 캐피털(할부금융)사의 신용대출금리가 큰 관심거리다. 서민을 대상으로 30%대 고금리로 돈을 빌려줘 많은 이윤을 취한다는 비판에 캐피털사들이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이에 캐피털사들은 비용절감과 이윤축소 등을 통해 취급수수료를 폐지하고 최고금리를 인하하는 등 자구노력을 선보였다.


그러자 시장에서는 캐피털사들이 손실보존을 위해 대출심사를 강화해 저신용자들이 대부업체로 내몰리게 됐다고 지적하고 나섰다. 이에 캐피털사들은 그런 일은 없을 것이라고 항변하고 있지만 믿어주는 이가 없다. 캐피털사들이 30%대 금리의 신용대출상품을 취급할 수밖에 없는 이유와 저금리 대출상품을 판매해 은행과 대부업 사이에서 중소기업과 서민생활자금을 지원하는 가교역할을 제대로 이행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은 없는지 궁금증을 자아낸다.

관련기사



현재 캐피털사들의 고유 시장은 전무한 상태다. 현실적으로 캐피털사들이 취급할 수 있는 할부금융 상품은 자동차ㆍ가전제품ㆍ주택 등으로 한정돼 있는데 기존 전자제품 등 내구재 할부금융상품은 신용카드 할부에, 주택할부금융 상품은 은행의 주택할부 및 담보대출에 급속히 잠식당했다.

그 결과 캐피털사들은 자동차 할부금융에 대한 의존도가 매년 증가해 현재 전체 할부금융 취급액 중 자동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90%에 육박할 정도다. 할부금융 상품이 자동차에 편중되면서 캐피털사들 간 과열경쟁이 야기됐고 나아가 수익성까지 악화됐다. 이런 상황에서도 캐피털사들이 금리를 인하하고 정부의 친서민정책에 동참하고자 노력하는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 받아야 할 것이다.

캐피털사들은 중소기업과 서민생활자금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금융업종이다. 과거에도 그랬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캐피털사들은 신용대출금리 비교공시를 통해 금리를 더욱 인하할 계획이다. 또한 캐피털사들이 서민금융지원을 보다 충실히 이행하기 위해서는 금융 당국의 지원이 필요하다. 규제완화와 수익증대를 위한 업무범위 확대 등 정책적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과 서민들에게 한발 더 가까이 다가가는 캐피털사들의 앞날을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