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외국인 지분증가 폐해 불확실"

외국인 지분율이 높아진 상장기업들이 낮아진 기업들보다 배당금이 크게 늘어나는 경향이 있지만 외국인 지분 증가에 따른 폐해로단정짓기는 어렵다는 지적이 나왔다. LG경제연구원은 7일 `외국자본 폐해론 사실인가'라는 보고서를 통해 2001년이후 작년까지 외국인 지분율이 일정 수준이면서 크게 높아진 상장업체 30개사와 크게 낮아진 30개사를 비교한 결과, 설비투자 위축 등 실제 폐해에 대한 근거는 뚜렷하게나타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분석 결과, 배당성향은 지분율 하락기업군이 2001년 32%에서 2004년 21%로 낮아진 반면 상승기업군은 같은 기간 27%에서 30%로 높아졌다. 그러나 보고서는 배당 증가는 배당여력의 확대 등에 따른 것일 수도 있는 만큼외국인 투자자의 압력이 배당을 늘린 것으로 단정짓기는 어렵다고 지적했다. 하락기업군의 경우 이 기간 자기자본이익률(ROE)이 -1%에서 4%로 높아지는데 그치고 부채비율은 130%에서 170%로 악화됐으며 매출액은 19% 증가했다. 이에 비해 상승기업군은 자기자본이익률이 4%에서 16%로 높아지고 부채비율은 176%에서 99%로낮아졌으며 매출액은 평균 23% 증가했다. 결국 외국인 투자자들이 기초체력이 튼튼하고 우수한 기업들에 투자한데 따른것일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지분율 하락기업군의 설비투자율은 이 기간 6.16%에서 7.03%로, 연구.개발(R&D)투자율은 1.70%에서 2.55%로 각각 높아졌으며, 지분율 상승기업군도 설비투자율이 4.83%에서 5.89%로, 연구개발투자율은 1.18%에서 1.23%로 높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배지헌 선임연구원은 "일부 투기성 외국자본의 경영간섭이나 단기 이익 추구를전체 외국 자본으로 확대해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투기자본의 교란행위에대해 규제 정비는 필요하지만 건전한 자본 유입은 활성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경수현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