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중소기업 중 절반이 “고스펙 지원자 차별해 봤다”

중소기업 2곳 중 1곳은 고스펙 지원자를 오히려 차별한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업무와 관계없이 높기만 한 스펙은 정작 취업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중소기업 인사담당자 353명을 대상으로 ‘고스펙 지원자 차별 경험’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45%가 ‘차별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고 4일 밝혔다. 인사 담당자들이 차별한 지원자의 대표적인 고스펙에는‘명문대 등 높은 학벌’이 78.6%(복수응답)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풍부한 사회경험’(13.8%), ‘어학연수 등 해외경험’(11.9%), ‘화려한 집안 배경’(7.5%) 등의 답변 순이었다. 차별한 이유(복수응답)는 ‘이직률이 높을 것 같아서’(61.6%)가 가장 많았고, ‘희망연봉 기대치가 높아서’(45.9%)가 뒤를 이었다. 이외에도 ‘고스펙이 필요 없는 업무라서’(28.9%), ‘조직문화에 적응이 어려울 것 같아서’(17.6%) 등의 답변이 있었다. 차별 방법으로는 절반에 가까운 45.3%가 ‘해당 전형에서 무조건 탈락시킨다’라고 답했고, ‘동점자 발생 시 불리한 평가를 한다’(24.5%)라고 답한 응답자도 있었다. 고스펙 보유자를 채용한 것에 대한 만족도는 낙제점 수준에 가까운 평균 58점으로 집계됐다. 사람인 임민욱 팀장은 “최근 기업의 채용 트렌드를 보면 실무역량과 함께 조직문화에 적합한 인재인지 여부가 핵심 평가요소”라면서 “스펙 쌓기에만 열중하기 보다는 이 부분을 고려한 취업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