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中·日 "고위급 경제대화 창설"

원자바오, 中총리론 6년반만에 訪日 환경등 '전략적 호혜관계' 구축 합의

원자바오(왼쪽) 중국 총리가 11일 도쿄 총리공관에서 아베 신조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기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도쿄=AP연합뉴스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와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11일 도쿄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간 고위급 경제대화 창설, 환경ㆍ에너지 분야 협력 등 ‘전략적 호혜관계’ 구축을 위한 구체안에 합의했다. 중국 총리의 방일은 2000년 10월 당시 주룽지(朱鎔基) 총리 이후 6년 반만으로 지난해 10월 아베 총리의 방중에 대한 답방형식으로 이뤄졌다. 양측은 이날 정상회담에서 경제관계 강화에 중점을 뒀다. 정치 등 근원적으로 해결이 불가능한 문제는 일단 옆으로 밀어놓고 서로 실리를 담보할 수 있는 관계부터 강화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은 것이다. 두 정상은 정상회담 후 내놓은 공동발표문을 통해 중ㆍ일 고위급 경제대화 창설 및 일본의 에너지 절약 기술을 중국에 지원하기 위한 ‘에너지 정책 대화’신설 방안 등을 밝혔다. 고위급 경제대화에는 아소 다로(麻生太郞) 외상과 쩡페이옌(曾培炎) 국무원 부총리가 각각 대표를 맡기로 했다. 양국은 또 중국이 2003년부터 취해왔던 일본쌀에 대한 수입금지 조치 해제, 도쿄 하네다공항과 상하이 훙차오공항간 직항로 개설, 환경분야 협력 등에도 합의했다. 다만 정치 문제는 서로 원론적 언급에 그친 채 넘어갔다. 공동발표문에는 과거사 문제에 대해 ‘양국이 역사를 직시하는 자세를 견지한다’는 표현을 담았지만 실제 논의에서는 견해차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양측은 북핵 문제와 관련, 북한에 대해 2·13 합의 조치의 조기 이행을 촉구했다. 일본이 요구한 일본인 납치문제에 대해서는 ‘북한의 인도적 문제에 우려를 표명했다’로 언급했다. 중국은 납치문제의 문서화에 신중한 자세였으나 표현 수위를 낮추는 선에서 받아들였다는 후문이다.

관련기사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