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국 노인 인구비율 2050년엔 세계최고 수준"

2030년 24% 2050년 37%… 최고령 국가 日ㆍ伊 추월<br>복지부 '노령화지수 추이'… 유소년 1명당 노인 4명

오는 2050년이 되면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세계 최고 수준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지금은 대표적인 최고령 국가인 일본, 이탈리아에 비해 노인 인구비가 절반에도채 미치지 못하나 2030년이 되면 선진국 평균 수준을 넘어서다 2050년에는 일본, 이탈리아를 추월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경제활동인구인 청ㆍ장년층의 노인 부양 부담이 가중되고 사회ㆍ경제적 활력도 급속히 감퇴하는 등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보건복지부가 22일 유엔의 `세계인구추계' 자료를 토대로 내놓은 노령화 지수추이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인구중 노인이 차지하는 비율이 지금의 9.1%에서 2030년에는 24.1%, 2050년에는 37.3%로 급증한다. 같은 기간 일본은 19.7%에서 30.4%, 36.5%로, 이탈리아는 19.6%, 28.2%, 34.4%로 각각 늘어날 것으로 추산됐다. 2050년이 되면 노인인구비가 일본에 비해 0.8%포인트, 이탈리아보다는 2.9%포인트 많아지는 셈이다. 미국의 경우 12.3%에서 20.2%, 21.1%로 증가하는 등 해가 갈수록 우리와 현격한격차를 보이게 된다. 이 기간 전세계 평균은 7.3%, 11.8%, 15.9%로 각각 늘어나 2030년께부터 노인인구비가 우리의 절반에도 훨씬 못 미칠 것으로 예상됐다. 이같은 추세에 반해 우리나라의 14세 이하 유소년층은 19.1%에서 11.2%, 9%로급감하고 15-64세 경제활동연령층도 71.8%에서 64.7%, 53.7%로 감소하게 된다. 2050년이 되면 유소년 1명당 노인 4명 이상의 인구 구성이 이뤄지는 셈이다. 복지부는 경제활동인구 대비 노인의 비율이 올해 12.6%에서 2010년 14.9%, 2020년 21.8%, 2030년 37.3%, 2050년 69.4%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2050년이 되면 경제활동인구 10명이 노인 7명 정도를 부양해야 하는 막대한 부담을 떠안게 된다는 것이다. (서울=연합뉴스) 황정욱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