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환율급등 탓 재활용품 가격강세/수입 큰 부담… 수요 늘어

◎고지·고철 등 15∼25% 올라/절약풍조 힘입어 관련제품매장도 활기IMF구제금융에 따른 소비절약풍조 등으로 국내재활용품수요가 늘어나면서 가격도 오르는 등 국내재활용품시장이 활기를 띠고 있다. 12일 환경부에 따르면 고지의 경우 신문지는 이날 현재 톤당 12만원으로 지난 6월 9만5천원에 비해 25%, 골판지는 8만5천원으로 7만원에 비해 20%가 올랐다. 또 고철은 지난 6월 톤당 12만6천원에서 14만5천원으로 15%가량 상승했으며 재생플라스틱은 62만원에서 65만원으로 소폭 인상됐다. 그동안 적체가 심했던 페트병은 중국수출증가와 함께 내수도 늘어나고 있어 연내 적체물량 해소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재활용품 가격강세현상은 최근 환율이 2배가까이 오르면서 그동안 수입의존도가 높았던 고철·폐지류의 수입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재활용업자들이 수입대체가 가능한 국내 재활용자원의 구매를 늘렸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자원재생공사의 재활용품 재고량은 폐지가 올상반기 1천8백20톤에서 현재 7백50톤, 고철은 5백33톤에서 3백24톤, 페트는 1천3백3톤에서 8백89톤으로 크게 줄었다. 주요 재활용품 가운데 국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폐지 54.7% ▲고철 73% ▲폐유리 60.3% ▲폐타이어 58.1% ▲폐윤활유 82.3% 등이다. 지난해 수입금액은 폐지 2천4백2억원, 고철 6천2백40억원 등 모두 8천6백45억원이다. 환경부는 종이·고철·플라스틱 등 4대 품목의 재활용률을 10%만 높일 경우 연간 3천3백35억원의 수입대체 효과가 있다고 분석했다. 환경부는 재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수입의존도가 높은 폐지·고철의 분리수집기능을 대폭 강화, 자판기설치시 종이컵·캔류의 분리수거함 설치를 의무화하고 고급사무용지와 신문지를 구분하는 분리수거함도 설치토록 했다. 한편 서울시는 해마다 학생들의 재생지로 만든 공책 사용비율을 연차별로 늘려 오는 2001년에는 60%까지 끌어올린다는 방침을 세우고 교육청에 사용목표를 세워 운영해 줄 것을 요청했다.<연성주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