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S&T대우 노조 타임오프 파업

대기업 계열사론 처음

S&T그룹의 핵심 계열사인 S&T대우 노조가 근로시간면제한도(타임오프) 제도를 둘러싼 갈등으로 전면파업에 돌입했다. 금속노조 산하의 대기업 계열사 노조가 타임오프 문제 때문에 처음으로 전면파업에 나선 것이다. 이에 따라 한동안 잠잠하던 타임오프 관련 투쟁이 다시 수면 위로 올라올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8일 노동계와 경영계에 따르면 S&T대우노조는 이날 자정부터 자동차부품 등을 생산하는 민수 부문 전면파업에 돌입했다. K2, K11복합형 소총 등 소구경화기 생산을 담당하는 방산 부문은 19일부터 잔업 및 특근거부에 들어갈 예정이다. 노조법상 방산 관련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쟁의행위는 일절 금지돼 있는 만큼 노조가 파업에 참여할 수 있는 인원을 총동원해 전면파업에 나선 것이다.


고용노동부의 한 관계자는 "방산의 경우 잔업 및 특근거부도 실질적으로 사용자 영업을 현저하게 방해할 경우 불법 가능성이 있다"는 입장을 보였다.

업계에서는 이번 파업이 타임오프 적용을 둘러싼 노사 간의 기싸움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고 있다.


사측은 현재 단협상 7명인 전임자를 3명으로 줄여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노조 측은 현행유지를 고수하고 있다.

관련기사



사측의 한 관계자는 "노조는 교섭시기에 통상관례상 교섭위원 14명에 대해 전임자를 인정해줬다고 주장하는데 회사는 그런 적이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올 초부터 노조간부 9명이 무단 결근하면서 집회 등에 참여해 징계 대상에 포함됐다"며 "이들이 교섭위원으로 나오는 상황을 인정할 수 없어 먼저 징계위를 해결하고 후에 임단협 교섭을 벌이자고 요청했지만 노조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전면파업에 들어갔다"고 덧붙였다.

노조의 한 관계자는 "전임자로 14명의 노조 간부가 있고 교섭시기에는 이들 14명 전원이 전임자 처우를 받았다"며 "사측이 납득할 만한 안을 제시할 때까지 파업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파업에 대해 노사 간에는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금속노조 측은 대기업 주력 계열사 가운데 전면파업에 돌입한 첫 사업장이 나온 만큼 앞으로 다른 사업장에도 여파가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경총의 한 관계자는 "S&T계열사 노조는 예전부터 강성이었고 노사 간 갈등이 늘 있어왔다"며 "이번 파업도 그런 흐름의 연장선에 있을 뿐 이번 파업으로 타임오프의 큰 틀이 흔들릴 가능성은 낮다"고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