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이 급증하면서 가계 부실채권을 사고 파는 유통시장도 폭발적으로 커지고 있다. 지난해 은행ㆍ카드ㆍ저축은행 등 금융회사가 자산관리회사 등에 매각한 가계대출 채권이 무려 10조원이 넘었으며, 올해는 이보다 2배이상로 커질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외환위기후 봇물처럼 쏟아져 나온 기업부실채권은 거의 정리된 반면 이제는 가계부실 채권이 홍수를 이뤄 이를 처리하는 문제가 구조조정의 핵심과제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19일 금융계계에 따르면 외환위기 이후 기업구조조정을 거치면서 시장에 대거 쏟아졌던 기업대출 부실채권물량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으나 가계대출부실에 따른 채권의 유통규모는 날로 확대되고 있다. 이는 금융회사들의 가계대출이 급증하고 덩달아 부실화 속도도 빨라지면서 자체적인 채권추심만으로는 빚을 회수하는 데 한계상황을 맞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또 부실자산을 장부에서 털어내 재무구조를 건전하게 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이에 따라 금융회사들은 가계부실 일정액을 외부의 전문 채권추심회사에 맡기는 한편 또 다른 일정 물량은 아예 장부가의 10% 안팎에 매각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은행권의 경우 조흥은행이 지난해 3,000억원이 넘는 가계대출채권을 매각한 것을 포함해 부실채권물량이 2조원을 넘었다. 카드업체들 역시 작년 하반기들어서는 매월 3,000억~5,000억원에 이르는 물량이 쏟아내고 있다. 이밖에 할부금융회사ㆍ저축은행 등도 부실채권이 급증하고 있다. 업계는 금융권 전체의 가계대출 부실채권 유통물량이 족히 10조원은 넘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같은 추세는 올해도 지속돼 시장규모가 최고 2배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부실채권 인수를 전문으로 하는 자산관리회사의 한 관계자는 “은행과 카드사 등 주요 금융회사의 가계부실채권이 급격히 늘어나 채권추심을 통해 빚을 회수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나고 있다”며 “1,000억원대 이상의 대규모 채권매매에는 외국의 전문회사가 입찰에 참여하고 있으며, 100억원대 안팎의 매매는 국내사가 주로 나선다”고 전했다. 또 다른 업계관계자는 “가계부실채권은 장부가의 10% 안팎에 가격이 형성되고 있지만 최근 인기가 좋아 12~13%에 매매가 체결된 사례도 있다”며 “업계에서는 올해 시장이 50~100% 가량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강동수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원은 “1ㆍ2금융권과 비금융회사들이 보유한 부실채권을 포함하면 가계부실 규모는 100조원을 웃돌 것”이라며 “부실채권이 많아지면 유통시장이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이진우기자, 조의준기자 rain@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