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허경욱 재정차관 뉴욕서 한국 IR "조만간 WGBI 편입 확실"

MSCI는 트집잡고 결정 미뤄 편입에 목 맬 이유가 없다<br>김연아는 한국경제와 닮은꼴 '비교 동영상' 박수갈채 받아


허경욱 기획재정부 1차관은 한국이 조만간 씨티그룹이 운용하는 글로벌국채지수(WGBI)에 편입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허 차관은 그러나 오는 6월께 결정되는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 (MSCI) 선진국지수 편입 가능성에 대해서는 "목을 매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혀 다소 시간이 걸릴 것임을 시사했다. 허 차관은 미국 뉴욕 포시즌호텔에서 지난 19일(현지시간) 개최한 한국 경제 설명회(IR) 이후 특파원 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허 차관은 "이날 IR에 참석한 씨티그룹 관계자들로부터 한국 국채의 WGBI 편입이 조만간 결정될 것이라는 언질을 받았다"며 "지수 편입은 시간의 문제이며 상반기 안에는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선진 23개국 국채로 구성된 WGBI에 한국 국채가 들어가면 해외 자금조달비용이 줄어들고 자금유입도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허 차관은 그러나 MSCI 선진국지수 편입과 관련, "MSCI가 이런저런 트집을 잡고 결정을 미루고 있다"며 "그렇다면 우리가 편입에 목을 맬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MSCI는 비거주자(외국인) 간의 원화거래에 대한 완전 자유화를 요구하면서 지수편입을 늦추고 있지만 이런 배경에는 한국이 선진국지수로 이동이면 기존 이머징마켓지수가 위축될 것이라는 계산이 깔린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한국은 해외 투기성자금 유입에 따른 시장교란 가능성에 대비, 외국인에 대해 원화표시 채권발행과 외국인 간 원화거래 등에 제한을 두고 있다. 그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핫머니 규제 등 투기성 거래를 억제하려는 움직임이 글로벌이슈가 되고 있어 이런 논의 결과를 봐가며 대처해도 된다"며 "지수 조기편입을 위해 싸울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허 차관은 올해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 발행계획을 아직 잡고 있지 않지만 국가 IR는 계속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한국 경제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주고 이들과의 지속적인 교류가 중요하다"며 "위기 국면이 왔을 때 한국 경제 상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보유 한국물을 그냥 던져 버린다"며 IR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그는 이어 "외채 4,000억달러 가운데 한 해에 만기 도래하는 유동 외채가 60~70% 된다"며 "정부의 해외 기채 수요가 없더라도 민간 은행들은 계속 외화를 조달하기 때문에 자금조달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한국 경제 IR는 멈출 수 없다"고 덧붙였다. 허 차관은 이번주 멕시코에서 열리는 미주개발은행(IDB) 연차총회 참석차 경유 길에 뉴욕에 들러 IR행사를 벌였으며 지난해 4월에도 뉴욕에서 IR를 가졌다. 한편 이날 IR에서 허 차관은 한국 경제의 위기극복 과정을 김연아 선수의 시련과 성공에 대비해 글로벌투자자로부터 박수 갈채를 받았다. 허 차관은 김연아 선수가 엉덩방아를 찧고 울음을 삼키는 모습과 2010 동계올림픽에서 화려한 연기로 정상에 오른 모습을 담은 '유나의 좌절과 성공' 이라는 제목의 영상자료를 보이면서 "김 선수의 성공은 한국 경제와 여러모로 닮았다"며 "그가 요행을 바라지 않고 열심히 연습하고 참고 견뎌내 세계에 우뚝 선 것처럼 한국 경제도 오뚝이처럼 일어나 글로벌 플레이어도 거듭나고 있다"고 소개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