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중형 전기차 양산 3년 앞당겨 2014년부터

'그린카 발전 로드맵' 발표<br>민간 구매 보조금 지원도 1년 앞당겨 2012년부터<br>하이브리드·연료전지차등 2015년 120만대 생산체제



정부가 중형 전기차 세계시장 선점을 위해 양산 시점을 오는 2014년으로 당초 계획보다 3년 앞당긴다. 또 전기차 보급 확산을 위해 민간구매 차량에 대한 세제 및 보조금 지원도 2012년부터 조기 시행된다. 정부는 6일 제10차 녹색성장위원회 보고대회에서 지식경제부∙환경부∙국토해양부∙녹색성장위 등 범부처 합동으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그린카 발전 로드맵'을 발표했다. 로드맵에 따르면 전기차를 비롯해 하이브리드차∙연료전지차∙클린디젤차 등 그린카의 경우 2015년까지 120만대 생산 규모 체제를 갖추고 이 가운데 90만대는 수출된다. 특히 중형 전기차의 경우 당초 2017년부터 양산에 돌입할 계획이었으나 이를 3년가량 앞당겨 2014년부터 조기 생산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또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하는 차종의 다양성을 위해 기존에 개발된 소형차 기술을 향상시킨 새로운 소형 크로스오버차량(CUV)도 내년까지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다. 더불어 배터리를 탈∙부착할 수 있는 전기차도 타당성 연구를 통해 경제성이 인정될 경우 2013년까지 중형 제품을 대상으로 개발하기로 했다. 현재 이와 관련된 연구용역이 진행 중으로 이르면 내년 초에 결과가 나올 예정이다. 각종 자금 지원도 앞당겨진다. 정부는 당초 민간 분야의 전기차 세제 지원 및 보조금을 2013년부터 시행할 계획이었으나 1년 앞당겨 2012년부터 지원하기로 했다. 민간 구매 전기차에 대한 정확한 지원 규모는 내년 상반기 중에 최종 결정될 예정이다. 정부가 이처럼 전기차의 양산체제와 지원 시기를 앞당긴 점은 이 분야에 대해 국내 자동차업계가 충분한 경쟁력을 갖고 있고 확산 시점이 예상보다 앞당겨질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전기차를 비롯해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는 2012년부터, 수소 연료전지차와 클린디젤버스는 각각 2015년부터 양산에 돌입해 그린카의 기술 분야에서 글로벌 4대 강국으로 발돋움한다는 청사진을 내놓았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ㆍ연료전지차 등에 대해서도 현재 하이브리드차에 제공하는 것과 동일한 수준(최대 310만원)의 세제 지원 방안과 이산화탄소 저배출 차량에 대해서는 보너스를 지급하고 고배출 차량에는 부담금을 부과하는 '보너스-부담금'제도를 내년 도입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전기 및 수소차 충전인프라 구축과 관련해서는 2020년까지 전기충전기 1,135만기, 수소충전기 168기를 설치하는 것을 목표로 관련법을 개정하고 정류소 충전시스템과 이동식 긴급충전시스템도 개발한다. 이 밖에 그린카 운전자에게 공영 주차장 요금 및 혼잡 통행료를 면제하고 공공기관 그린카 의무구매 비율을 2013년까지 50%로 높이는 방안도 추진한다. 정부 관계자는 "그린카 차종별로 앞으로 5년간 양산 로드맵을 제시해 이 기간 모두 3조1,000억원의 민간 투자를 유도해나갈 계획"이라며 "2015년에는 우리나라가 그린카 4대 강국에 올라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