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가계대출도 부실 선제 차단… '프리 워크아웃' 활성화

금융당국이 은행 등 금융기관에 기업뿐 아니라 가계에 대해서도 프리 워크아웃(Pre-Workout) 제도를 활성화하도록 권고지시를 내린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가계 프리 워크아웃 제도는 일부 은행에서 시행되고 있으나 잠재된 가계부실을 선제적으로 차단하려면 다른 은행의 동참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특히 금융당국은 가계대출 프리 워크아웃 제도 활성화를 위해 매월 은행 등으로부터 실적을 집계하는 방식으로 간접적인 지도감독을 병행할 계획이다. 가계대출 프리 워크아웃은 향후 연체자가 될 가능성이 높은 개인을 대상으로 상환능력을 고려, 채무 재조정을 통해 정상적인 금융거래를 해나갈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즉 향후 신용관리대상자(3개월 이상, 50만원 이상 연체)가 될 위험이 큰 가계 차주를 대상으로 이뤄지는 것이 특징이다. K은행의 경우 1개월 이상 연체자, 담보가치 하락 개인 채무자 등을 대상으로 신용도 등을 고려해 대출기간 재조정, 금리인하, 대환대출 등을 시행하고 있다. 조만제 금감원 가계신용전담반장은 “현재 일부 은행에서만 가계대출 프리 워크아웃 제도를 도입, 운영하고 있다”며 “선제적 부실 차단 등을 위해 은행에 이를 활성화하도록 권고지시를 내렸다”고 밝혔다. 금융위의 다른 관계자는 “가계대출 프리 워크아웃은 이명박 대통령이 밝힌 가계부담 인하 등의 차원에서 추진되는 정책”이라고 부연 설명했다. 금융당국은 은행들이 가계 채무 재조정에 적극 나서도록 매월 가계 프리 워크아웃 실적을 집계하는 등 간접적으로 지도하는 방식도 취하기로 했다. 단 세부 운영방식은 은행 등이 자체 사정을 고려해 결정하도록 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 3ㆍ4분기 현재 은행권의 가계대출 잔액은 637조781억원이며 카드 할부 등을 포함한 가계신용은 676조321억원을 기록하고 있다. 또 내년부터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거치기간이 종료되면서 원리금 상환이 본격화되는 등 가계대출 부실화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