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고려청자 '매병' 꿀단지로도 사용했다

'마도 2호선'의 해저발굴 결과 찾아낸 최상급 청자음각매병. 수도 개경에 사는 유력한 무신에게 보내는 꿀단지였음이 화물표에 해당하는 '죽찰'에 기록돼 있었다.

보통 ‘매병(梅甁)’이라 부르는 고려시대 청자를 고려 당시 사람들은 준(樽) 또는 성준(盛樽)이라 불렀으며 꿀단지로도 사용한 사례가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4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충남 태안군 근흥면 마도 해역에 대한 올해 해저발굴성과를 발표하면서 발굴품을 공개했다. 고려시대 침몰선박 마도 2호선에서 발굴된 고려시대 상감청자매병(象嵌靑磁梅甁)을 비롯 각종 도자기와 목ㆍ죽제품 등의 유물이 공개됐는데 특히 침몰 선박의 우현부에서 나란히 발견된 매병 2점이 당시 꿀단지로 쓰였던 단서를 제공했다.


매병 주둥이 쪽 대나무 화물표(죽찰ㆍ竹札)에는 ‘중방도장교오문부(重房都將校吳文富)/택상정밀성준봉(宅上精密盛樽封)’이라고 씌어 있었다. 이를 판독한 연구소 측은 “고려의 수도인 개경의 중방(고려시대 무인의 최고 의결기관) 소속 도장교(정8품 이하 하급무관)인 오문부라는 사람에게 올린 꿀단지였다”면서 “고려시대 매병은 준(樽) 또는 성준(盛樽)으로 불렸다는 사실이 최초로 확인됐으며 매병이 보통 술이나 물을 담는 그릇이었다는 기존 연구 결과에서 발전해 꿀 같은 식재료를 보관ㆍ운반하는 데 사용됐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첫 사례”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매병 2점 중 상감매병은 참외 모양의 몸통에 버드나무ㆍ모란ㆍ국화 등을 상감하고 꽃 위에는 나비, 아래에는 오리를 새겼고 음각매병은 어깨에 구름, 몸통에 연꽃 문양을 정교하게 장식했고 유색이 맑고 짙다. 높이 39cm의 두 매병 모두 최상급 청자로 분류된다.

이외에도 쌀(中米), 콩(太), 알젓 등의 화물의 종류ㆍ수량ㆍ발신자ㆍ발송지가 적힌 목간(木簡) 30여 점이 발견돼 이번 마도 2호선 역시 앞서 조사된 마도 1호선과 같은 ‘세곡(稅穀) 운반선’일 가능성이 높다고 연구소는 밝혔다. 목간의 판독 결과 고부군(古阜郡)과 장사현(長沙縣)이라는 지명, 대경(大卿)이라는 고위직의 유(庾)씨라는 인명 등이 드러났다. 연구소는 “유씨가 무송(茂松ㆍ 전북 고창군 무장면)을 본관으로 하는 점을 고려할 때 마도 2호선은 고창ㆍ정읍ㆍ영광 일대의 산물을 운송하다 지금의 마도 인근 난행량에서 침몰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현재 조사가 진행중인 마도 2호선은 2009년 조사한 마도 1호선에서 동쪽 약 900m 지점에 위치하며 길이 12m에 너비 5m로 1호선보다 약간 큰 편이다. 목간 판독 등이 더 진행되면 이들 유물은 “고려 무신집권기 타입캡슐의 하나로 당시 사회ㆍ경제사 연구의 귀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연구소는 덧붙였다. 조사는 오는 11월까지로 예정돼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