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발언대/1월 11일] 기후변화에 대한 기업의 대응

지난 2007년 11월 정부 간 기후변화위원회(IPCC)는 제4차 보고서를 통해 올해를 정점으로 자연계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계속 줄어들지만 배출량은 증가하게 돼 온실가스 농도와 기온이 급격히 증가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 영국의 스턴 보고서는 지구 온난화 문제가 단순한 환경문제에서 세계경제에 돌이킬 수 없는 위협 요인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그대로 방치할 경우 오는 2050년에는 연간 전세계 국내총생산(GDP)의 5~20%가 손실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러한 인류의 관심 속에 지난해 말 개최된 유엔 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 총회(코펜하겐 기후회의)에서 법적 구속력이 있는 합의안 도출은 실패했지만 의무 감축 대상국들이 2020년까지 온실가스의 수량적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로 약속하는 성과를 거뒀다. 우리 정부도 국제적인 흐름에 동참하고자 녹색기술과 녹색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는 '저탄소 녹색성장' 전략을 세우고 기후변화 대응 체계를 단계적으로 강화할 예정이다. 정부 정책에 발맞춰 산업계의 적극적인 동참이 어느 때보다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시대의 기후변화에 대한 기업의 대응 방안으로는 먼저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에 의한 탄소정보공개 요구가 본격적으로 시행될 예정인 만큼 경영활동 전과정에서의 온실가스배출량을 정확히 산출하고 기업들의 여건을 고려해 탄소배출정보공개를 준비해야 한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위험 요소를 평가하고 새로운 기회를 포착할 수 있는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 기후변화가 제품의 개발, 생산과 서비스에 미치는 잠재적인 영향을 고려하되 소극적인 규제 대응 자세에서 벗어나 기업의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한 신규 비즈니스 기회 창출을 꾀하고 경영 활성화 관점에서 능동적으로 대응해야 할 것이다. 한편으로는 경영 이슈에 저탄소 경영을 적극 반영해야 한다. 그간 기업 경영에서의 에너지 절약 활동은 근검ㆍ절약 위주의 소극적인 활동 위주였으나 에너지 및 자원 사용의 효율화를 경영의 주요 이슈로 정하고 구체적인 절감목표를 설정한 후 개선활동을 추진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대외 이해 관계자와 다양한 대화 채널을 구축하고 기후변화 관련 국제적 협약이나 국내외 각종 제도에 대한 리스크 대응 차원의 생존 전략을 수립해 선도적으로 나서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